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부동산 한파에 … 인구이동 106만명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주택 거래 절벽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국내 인구 이동이 1년 새 100만명 넘게 줄었다. 이는 43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내 인구 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입신고 기준 전국 이동자 수는 615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106만1000명) 줄었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국민들은 2년째 감소세를 보이며 1979년 108만6000명이 줄어든 이후 43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감소율은 1976년(-24.8%) 이후 4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 이동률도 지난해 12.0%로, 1972년(11.0%)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국민들의 발목을 잡은 직접적인 원인은 부동산 시장 한파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1~11월 주택매매량은 48만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의 96만1000건과 비교해 절반 이상 감소했다"며 "주택 관련 이동자 수요가 줄어 전체 이동자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급등한 고금리 현상도 이사를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기준금리는 3.5%로 1년 새 2%포인트 급등하며 지난해 이후 인상 속도가 빨라졌다. 고금리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자금 부담 등으로 인해 이동이 활발한 2030세대 이사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0년 국내 인구 이동은 773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8.9%(63만1000명) 증가했다. 증가폭은 1999년(15.7%) 이후 21년 만에 가장 컸다.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았던 2021년 이동자 수는 전년 대비 6.7%(52만2000명) 줄어들었다.

특히 집값 하락폭이 컸던 서울 지역에서 인구 순유출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간 인구는 123만7000명이었는데 타지에서 서울로 들어온 인구는 120만2000명으로, 3만5000명이 순유출되며 33년째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출 인구 중 60.0%는 경기도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입 인구 120만2000명 중 경기도에서 이동한 인구 비율은 51.0%였다.

경기는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 등 6개 시도의 전입·전출 1순위 지역이었다. 다만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전체로 보면 지난해 인구 3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수도권의 인구 순유입은 2017년부터 6년째 이어지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 순유입이 일어난 시도는 경기(4만4000명), 인천(2만8000명), 충남(1만4000명), 세종(1만명), 강원(7000명), 충북(5000명), 제주(3000명) 등 7곳이다. 나머지 10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일어났다.

전국 228개 시·군·구의 인구 이동을 분석해보면 순유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 중구(7.9%), 순유출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 동구(-3.0%)였다. 세종특별자치시와 인천, 경기는 전 연령층에서 인구가 순유입됐다.

하루가 다르게 심해지는 고령화 현상도 인구 이동이 줄어든 원인 중 하나다. 연령대별 이동률을 보면 60대(7.4%), 70대(5.4%), 80대(6.0%) 등 고령층의 이동률은 20대(23.1%), 30대(18.9%)보다 확연히 낮았다.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이유로는 주택 문제가 34.4%로 가장 많았고 가족(23.7%), 직업(23.4%) 때문이라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이종혁 기자 / 이희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