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년 12월 및 2022년 국내인구이동 발표
주택거래 감소 및 고령화 영향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입신고 기준 전국 이동자 수는 615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7%(106만1000명) 줄었다. 이동자 수는 2년 연속 전년 대비 감소했다.
지난해 인구이동 감소 폭은 1979년(108만6000명) 이후 43년 만에 가장 컸다. 감소율은 1976년(-24.8%) 이후 4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작년 12.0%로 1972년(11.0%) 이후 최저치였다.
![]() |
[통계청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작년 인구이동이 큰 폭으로 줄어든 주요 이유는 주택거래 감소다.
노형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1∼11월 주택매매량은 48만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의 96만1000건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감소했다"며 "이를 통해 짐작해보면 주택시장이 덜 활발해 주택 관련 이동자 수요가 줄어 전체 이동자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령화도 인구이동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이동률이 낮은 고령인구 비중이 커지면 전체 이동이 줄기 때문이다.
작년 이동률을 보면 60대 이상은 5.4∼7.4%로 20대(23.1%)와 30대(18.9%)보다 낮았다.
![]() |
[통계청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지난해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이 34.4%로 가장 많았고 가족(23.7%), 직업(23.4%)이 뒤를 이었다. 다만 주택 때문에 움직였다는 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59만8000명 줄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 순유입이 일어난 시도는 경기(4만4000명), 인천(2만8000명), 충남(1만4000명), 세종(1만명), 강원(7000명), 충북(5000명), 제주(3000명) 등 7개다.
나머지 10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일어났다. 이 중 서울(-3만5000명), 경남(-1만9000명), 부산(-1만4000명), 대구(-1만2000명), 울산(-1만명)은 순유출 규모가 1만명 이상이었다.
![]() |
[통계청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은 1990년 이후 작년까지 33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는 123만7000명으로, 전출 인구 중 60.0%는 경기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입 인구 120만2000명 중 경기에서 이동한 인구 비율은 51.0%였다.
서울 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까지 6개 시도의 전입·전출 1순위 지역은 경기였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은 작년 인구 3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수도권의 인구 순유입은 2017년부터 6년째 이어지고 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에서 순유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 중구(7.9%), 순유출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 동구(-3.0%)였다.
![]() |
[통계청 자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