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남미 상공 3600km 지나간 소행성···지구 위협 소행성 더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행성 '2023BU' 남아프리카 상공 3600km 지나가

근지구소행성 3만개, 지구위협소행성 2000개 넘어

작은 소행성 근접 가능성 배제 어려워..감시 필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트럭’ 크기 소행성이 지구 상공을 지나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소행성 ‘2023BU’가 27일 오전 9시 29분께 남아프리카 남단 3600km 상공을 통과했다.

이번 소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되거나 지구를 지나간 소행성 중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나갔다. 정지궤도위성 고도(3만 6000km) 보다 10배 가까이 지구에 다가와 지나간 셈이다. 이번에는 무사히 지나갔지만, 앞으로 지구에 가까이 다가올 소행성들이 나올 수 있을까.

이데일리

소행성 ‘2023BU’의 궤적(빨간색)과 정지궤도위성 궤도(청록색).(자료=미국항공우주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근지구소행성 3만여개, 지구위협소행성 2000여개 달해

결론적으로 작은 크기의 소행성은 소행성 ‘2023BU’처럼 지구 가까이 다가올 가능성이 있다.

자연우주물체는 우주공간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천체를 뜻한다. 크기가 작은 소행성, 혜성, 유성체 등의 천체들은 고유의 공전운동을 한다. 다른 천체의 중력을 받으면 궤도를 바꿔 지구로 접근하기도 한다.

이번 소행성은 3m~7m의 작은 크기의 소행성이다. 소행성은 표면이 금속처럼 반짝 빛나거나 탄소처럼 어두워 크기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범위로 크기를 추정한다. NASA에 따르면 이러한 소행성은 지구와 충돌한다고 해도 크기가 작아 대기권 진입 과정에서 불타거나 일부만 작은 운석으로 지상에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소행성은 미리 소행성의 존재를 확인하고, 충돌 확률을 알아내는 게 중요하다. 지구궤도와 만나거나 지구 가까이에 접근하는 궤도를 갖는 모든 소행성을 근지구소행성(NEA)라고 부른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분석 결과, NEA는 3만 1130개(27일 기준)에 이른다.

이 중 지구 최근접거리, 소행성 크기 등을 고려해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어 특별하게 관리가 필요한 ‘지구위협소행성(PHA)’이 2324개다.

가능성 희박하나 작은 소행성 지구 근접할 수도

소행성 충돌을 대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다. NASA JPL을 비롯해 우리나라 우주환경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등에서 NEA와의 충돌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모양, 크기, 성분, 속도 등 물리적 속성을 확인하고, 궤도를 관찰하고 있다. 지난 1990년대를 넘어서면서 NASA 등이 NEA 탐사 관측 프로젝트를 했기 때문에 NEA 발견 숫자가 빠르게 늘어 현재 1km가 넘는 NEA 발견율은 98%에 달한다.

김명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는 “소행성이 가깝게 지나가더라도 충돌 확률이 없으면 안전한 것이며, NASA 분석에서도 충돌 확률이 없었다”면서 “실제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km급 소행성들은 인류가 대부분 파악해 궤도 등을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사례처럼 일주일 전에 작은 크기 소행성이 나타나 지구 가까이 다가올 여지는 있다. 인류가 작은 크기 소행성은 절반도 파악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루에도 다양한 종류의 소행성이 움직이고 있고, 이번 소행성도 일주일 전인 21일에서야 발견됐다. 인류에게 영향을 줄 가능성이 아주 낮지만, 지구 가까이 다가올 여지는 있다는 뜻이다.

김 박사는 “현재까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지구 가까이 다가와 접근할 수 있는 작은 크기 소행성은 없다”면서도 “작은 크기 소행성은 이번 사례처럼 지구 가까이 지나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고, NEA는 앞으로 철저히 감시하고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이데일리

우주환경감시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등에서 이번에 지나간 소행성을 비롯해 지구를 지나가는 소행성들의 목록, 크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자료=한국천문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