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정유업체 ‘성과급 잔치’…횡재세·기금출연 ‘재점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정유업체 4곳..영업익 큰 폭 오르며 역대급 실적

오일뱅크 월 기본급 1000%·GS칼텍스 연봉 50% 성과급

정치권서는 ‘횡재세’ 필요 입장..“국민 고통 상쇄해줘야”

인더뉴스

사진ㅣ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내 정유업체가 2년 연속 호실적을 올리며 임직원들에게 두둑한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실적 잭팟'이 터지며 일부 업체서는 전년 액수보다 확대한 규모로 성과급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초 현대오일뱅크가 직원들에게 월 기본급의 100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 데 이어 GS칼텍스도 마찬가지로 연봉의 50%에 달하는 액수를 성과급으로 책정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도 올해 1000% 또는 그 이상에 달하는 성과급이 예고된 상황입니다.

현대오일뱅크의 경우 지난해 초 월 기본급 600%에 해당하는 성과급을 지급한 바 있는데 올해는 400% 뛰어오른 1000%의 성과급을 제공했습니다. GS칼텍스는 오는 27일 기본 연봉의 50%에 달하는 액수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예정인데 전년과 같은 규모입니다.

'성과급 잔치'는 정유업체들이 '역대급 실적'을 거둔 것이 주 이유입니다. 지난해 1분기 국제유가가 상승기류를 보인 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인해 석유원료 가격을 뺀 운임, 유통 등의 정제마진 또한 오르며 실적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6월에는 유가 상승곡선이 최고조에 달한 바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당시 전국 경유 가격은 리터당 2102.82원,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2097.29원을 기록하며 최고가 기록을 경신한 바 있습니다. 서울 일부 주유소에서는 리터당 경유, 휘발유 가격이 3000원을 넘어서거나 육박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인더뉴스

지난해 6월 유가 상승이 절정이 달했을 당시 한 주유소의 리터 당 경유 및 휘발유 가격. 사진ㅣ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국내 정유업체가 낸 영업이익의 경우 SK이노베이션은 4조6822억원, GS칼텍스는 4조309억원, 에쓰오일은 3조5656억원, 현대오일뱅크는 2조7769억원입니다. 전년 동기인 2021년 3분기와 비교할 경우 SK이노베이션은 159.6%, GS칼텍스는 185.9%, 에쓰오일은 103.8%, 현대오일뱅크는 226%가 뛰어올랐습니다.

4분기 및 연간실적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미 모든 정유업체가 3분기 누계실적에서 전년 총 영업익을 뛰어넘는 액수를 기록했기 때문에 사실상 '역대급' 영업이익은 확정인 상황입니다. 일부 업계에서는 지난해 정유업체의 연간 총 영업익이 3조~5조원 가량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채용정보 플랫폼인 잡코리아에 따르면, GS칼텍스의 사원 평균 연봉은 1억547만원, 신입초봉은 5333만원이며, 현대오일뱅크의 경우 평균 1억2288만원, 신입초봉 4800만원입니다. 산출해 볼 경우 GS칼텍스는 평균 5000만원대 성과급이 지급되는 셈이며 현대오일뱅크 또한 상당한 액수로 성과급이 주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횡재세' 재점화에 정유사 '반발'...기금출연 대안으로 재부상하나

2년 연속 실적 호조와 맞물려 정유업계의 성과급 규모 또한 전년도보다 확대되자 정치권을 중심으로 정유사에 초과 이익에 대한 '횡재세'가 도입 논의가 다시 재점화 하고 있습니다.

횡재세는 일정한 기준보다 초과이익을 얻은 기업에 대해 초과분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횡재세' 제도를 통해 전쟁 등의 원인으로 가격이 폭등하며 이익을 크게 얻은 기업에 세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횡재세 도입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8월 정유사를 대상으로 초과이윤을 환수하는 '법인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하며 횡재세 도입을 공론화 했습니다.

당시 정부는 횡재세 도입과 관련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지만 올해 들어 정유사들이 '역대급 이익'을 바탕으로 이른바 성과급 잔치를 벌이자 횡재세 도입에 대한 여론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횡재세에 대해 정유업계는 반발하는 모습입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기업이 영업이익을 임직원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하는 것은 기업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무척 중요한 요소인데 정치권에서는 그런 부분은 간과하고 있다"며 "정유사의 영업이익은 국내에 파는 유류보다는 원유를 들여와 정제해 수출로 벌어들이는 마진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데 횡재세 논란은 이 부분을 왜곡시키는 지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국내 정유업계는 세계 5위 규모의 정제설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석유공급 부족이 해소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가동률을 최대로 끌어올리면서 수출량을 극대화했습니다.

대한석유협회(KPA)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까지 국내 정유 4개사의 석유제품 수출량은 역대 최대치로 수출량은 3억5433만배럴, 수출액은 443억3600달러(약 56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2%, 91.4% 증가했습니다. 덕분에 지난해 3분기 국내 최다 수출액 품목 중 석유제품은 반도체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외에도 정유업계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5조원 이상의 영업적자를 낼 당시 정부 차원에서 보전지원이 없었던 것과 앞으로 경기의 불확실성을 근거로 횡재세 도입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횡재세 보다는 기금출연이라는 대안도 부상하고 있습니다. 국내 정유 4개사는 15년 전인 지난 2008년 경제위기 속 유가 상승으로 3조원 이상의 실적을 내자 '노블리스 오블리주' 차원에서 1000억원의 기금을 3년간 조성해 내놓은 바 있습니다. 당시 정유사가 내놓은 기금은 취약계층 에너지 및 주거환경 개선 지원, 저탄소 관련 사업 등에 활용됐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지난 25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과도한 정유사 및 에너지 기업의 영업이익 부분은 유럽에서 채택하는 횡재세까지는 아니더라도 현행 있는 제도 활용을 바탕으로 부담금을 일부라도 부담하게 해 국민들이 에너지 상승으로 겪는 고통을 상쇄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2013~2023 iN THE 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