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감산없다" 버틴 삼성, 반도체 혹한기 승자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에 위치한 ASML 본사에서 피터 베닝크 CEO, 마틴 반 덴 브링크 CTO 등과 함께 반도체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2022.6.15/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반도체 산업에 한파가 불어닥쳤지만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업황이 반등하면서 2026년까지 메모리반도체 부문의 성장률이 시스템 반도체보다 더 높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를 두고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유일하게 인위적 감산을 하지 않기로 한 삼성전자의 판단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당장 타격을 받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산, 투자 전략을 세밀하게 세워 위기를 기회로 만들었던 2007년 '메모리 반도체 치킨게임'을 통해 얻은 교훈 덕분이라는 것이다.

머니투데이

26일 시장조사 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1∼2026년 메모리반도체의 연평균 성장률은 6.9%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전체 반도체 시장(5.8%)과 시스템반도체(5.9%)의 연평균 성장률보다도 높은 수치다. 메모리 반도체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군은 낸드플래시다. 낸드플래시의 해당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9.4%에 달한다. 5G(5세대) 이동통신, AI(인공지능) 등 첨단 산업이 모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해야 하는 만큼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게 이런 전망의 배경이다. 낸드의 경우 경쟁사 중 최근엔 삼성전자 정도만이 의미 있는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인위적 감산 없이 반도체 불황을 버텨온 삼성전자 입장에선 희소식이다. 이미 감산을 결정한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경쟁사에 비해 시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추고 있어서다.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 말 기준 128조2000억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4분기부터 생산라인의 고도화를 통해 고성능 제품 생산을 늘려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위적 감산 없다" 다가올 호황기 지배력 확대 전략

반도체 산업의 경우 보통 '반도체 수요 감소→재고 증가→제조사들의 공급량 증가 속도 조절' 등으로 이어지는 업황 사이클(cycle)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제조사들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빗그로스(비트 단위 출하량 증가율)를 낮추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선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마이크론,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선두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라인에 웨이퍼 투입을 줄이는 방식의 '인위적 감산'에 나선 바 있다. 업계에선 이러한 형태의 감산이 2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판단은 이와 반대였다. 경쟁사들이 설비투자를 줄이고 웨이퍼 투입을 줄이는 인위적 감산을 하는 사이 공정 효율화 등을 통해 혹한기를 견디기만 하면 업황 사이클이 호황기로 돌아서는 과정에서 시장 지배력을 단숨에 높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는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 벌어졌던 메모리 반도체 치킨게임에서 얻은 교훈이기도 하다. 당시 삼성전자는 가격안정을 위한 감산을 하지 않는 대신 가격 경쟁을 벌이는, 이른바 '골든 프라이스' 전략을 구사해 버텨냈다. 덕분에 삼성전자는 2017년 이후 반도체 초호황기에 접어들면서 사상 최대실적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

이번에도 상황은 유사하다 메모리반도체 시장 부동의 1위 삼성전자가 인위적 감산을 선택하지 않으면서 선제적으로 감산에 나선 경쟁사들이 기대했던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반등이 일어나지 않았다.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인 D램의 가격은 2021년 3월 5.3달러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하락해 최근에는 2.2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


'감산 언급할까' 삼성전자 컨퍼런스 콜 주목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나아가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가격이 전분기보다 13∼18%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2달러 이하로 내려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낸드플래시의 1분기 가격도 10∼15% 더 추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경쟁사들은 최악의 위기를 겪고 있다. 업계 3위인 미국 마이크론은 7년 만에 지난해로 전환했고, 2위인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적자를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선 이달 31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삼성전자의 감산에 대한 입장 변화 가능성에 주목한다. 그러나 여전히 삼성전자는 감산에 대해 부정적이다. 생산라인 재배치, 신규증설 지연, 미세공정 전환 확대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감산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안기현 한국반도체협회 전무는 "인위적 감산까지는 아니더라도 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라인의 탄력적 운영 정도의 언급만으로도 파장이 있을 것"이라며 "생산라인 일부를 전환만 하더라도 자연스럽게 감산의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동훈 기자 mdh5246@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