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전세계 100마리도 안남은 뿔제비갈매기, 멸종위기 1급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부, 19종 새로 지정…멸종위기 야생생물 267종→282종으로

백조어·솔붓꽃·황근·개병풍 목록서 제외…매는 2급으로 하향

연합뉴스

새로 멸종위기 1급으로 지정된 뿔제비갈매기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전 세계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뿔제비갈매기와 최근 20년 동안 관찰 빈도가 95% 감소한 청호반새 등이 멸종위기종으로 새로 지정됐다.

환경부는 9일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267종에서 282종으로 늘리는 내용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개정안을 공포했다.

1급은 68종이고 2급은 214종이다.

자연·인위적 위협으로 개체 수가 현저히 감소한 종은 1급으로, 자연·인위적 위협을 제거하거나 완화하지 않으면 근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은 2급으로 분류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새로 이름을 올린 종은 19종이다.

뿔제비갈매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됐다. 1937년부터 63년간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2000년 중국에서 4마리가 발견돼 존재가 확인된 극 희귀종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 이후 전남 영광 육산도에서 6차례 번식에 성공했다.

무모한 사람을 일컫는 '불나방 같다'라는 표현으로 익숙한 불나방, 살짝 위로 휜 부리가 눈에 띄는 큰뒷부리도요, 알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탑을 쌓는 어름치 등 18종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신규 지정됐다.

연합뉴스

새로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불나방
[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청호반새는 환경부가 지난 7월 공청회 때 공개한 목록에서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향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될 수 있는 '관찰종'으로 지정됐으나, 최근 개체가 급감하고 번식지가 줄었다는 의견이 반영돼 멸종위기 2급에 포함됐다.

분포면적이 늘고 개체군 크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백조어, 솔붓꽃, 황근, 개병풍 등 4종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에서 빠졌다.

고니, 느시, 무산쇠족제비, 물범 등은 2급에서 1급으로 상향됐고 매는 2급에서 1급으로 내려왔다.

노랑배청개구리, 좀구굴치, 긴다리소똥구리 등 56종은 관찰종으로 지정됐다.

연합뉴스

사냥에 성공한 매
(양양=연합뉴스) 양양 남대천 하구에서 매 한 마리가 사냥한 먹이를 먹고 있다. 2022.1.19 [속초고성양양환경운동연합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momo@yna.co.kr



1989년 처음 만들어진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야생생물법)에 따라 5년마다 개정된다.

목록에 이름을 올린 야생생물은 최근 10년(2012∼2022년) 동안 246종에서 282종으로 증가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면 포획, 거래하거나 훼손하면 안 된다. 야생생물법에 따르면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을 포획, 채취, 훼손하거나 죽이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이번에 신규 지정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보관하고 있는 경우에는 내년까지 유역(지방)환경청에 신고해야 한다.

환경부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은 국내 분포 상황을 고려해 만들어지며, 타국 정부의 멸종위기종 목록이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 동식물 목록인 적색목록 등과는 별개로 운영된다.

예컨대 고라니는 국내 서식 밀도가 너무 높아 농림수산업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1994년 유해야생생물로 지정됐지만, IUCN 적색목록에서는 취약(VU·Vulnerable) 등급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반대로 물고사리는 한국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돼 보호를 받지만, 미국에서는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침입종으로 여겨진다.

연합뉴스

역동적인 남대천의 봄
[연합뉴스 자료사진]


honk0216@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