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내년 중반 소비여력 바닥, 美 연착륙 어렵다"···커지는 'R의 공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월가 경기비관론 확산

인플레·금리 인상 등 악재 지속

1.7조달러 저축쿠션 소진 우려

금융위기에 버금가는 침체 전망

모건스탠리는 1600명 감원 계획

개도국 부채급증에 부도위기 고조

"세계경제 2.4% 성장 30년來 최악"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어도비애널리틱스는 미국의 황금 쇼핑 기간인 지난달 말 블랙프라이데이 당일의 온라인 쇼핑액이 91억 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 늘었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할인이 정점을 이루는 ‘사이버 먼데이’ 판매액은 5.3% 증가한 113억 달러를 기록했다. 닷새의 세일 기간 총 판매액은 360억 달러를 넘기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사상 최대’라는 수치에는 어두운 이면이 가려져 있다. 포레스터의 애널리스트 슈차리타 코달리는 “인플레이션이 8% 상승했는데 매출이 5% 늘었다면 이는 소비자들이 구매를 덜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의 보루인 소비가 예전 같지 않다는 의미다.

월가 투자은행의 수장들이 우려하는 대목도 바로 이 지점이다. 인플레이션으로 미국인들의 가처분소득은 줄어드는 반면 금리 인상으로 부채 부담은 늘고 있으니 시간이 갈수록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결국에는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 것이라는 게 이들이 바라보는 시나리오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6일(현지 시간) “소비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시행된 부양 정책 덕에 1조 5000억 달러의 초과 저축을 보유하고 있고 2021년보다 현재 10%가량 더 소비하고 있다”며 “하지만 치솟는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이 모든 것을 잠식하면서 내년 중반이면 소비자들의 보유 현금은 모두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 경제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지만 이런 상황이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따르면 올 2분기 기준 미국인들의 초과 저축액은 1조 7000억 달러 수준이다. 2020년 1분기만 해도 1000억 달러에 못 미쳤지만 팬데믹 기간 정부의 각종 보조금 덕에 2021년 3분기에는 2조 2866억 달러까지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상반기에만 약 5000억 달러 이상 줄었다. JP모건 외에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골드만삭스 등 월가 투자은행들은 이르면 1년 내에 남은 1조 7000억 달러가 모두 소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저축률이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10월 미국 개인 저축률은 2.3%로 2005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미 일부 가정에서는 가처분소득 부족으로 신용카드에 가계를 의존한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3분기 신용카드 잔액은 9250억 달러로 전년(8040억 달러) 대비 15% 증가했는데, 이는 20년 만에 최대 폭이다. 레비센터의 데이비드 레비 CEO는 “저축률이 떨어지면서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다”며 “이는 곧 심각한 불황과 기업 이윤 감소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준은 속도 조절을 통한 연착륙을 시도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시카고대 부스경영대와 공동으로 실시한 이코노미스트 설문 조사에서 85%는 미국 경제가 내년에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지오 프리미세리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연착륙은 극히 어렵고 역사상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월가 금융기관들도 다가올 침체에 대비해 구조 조정의 고삐를 죄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전체 인력의 약 2%인 약 1600명을 감축할 계획이다. 골드만삭스그룹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경제 둔화에 대비해 운영 규모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인력 감축의 원인을 미국뿐만이 아닌 세계 경제의 둔화로 설명했다. 그는 세계 각국에서 늘어나는 국가 부채를 잠재적인 위험으로 꼽으며 “기업 성장이 세계 경제와 연계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구상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개발도상국들은 세계 경제 둔화와 미국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상환하기 어려운 수준의 국가 부채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세계은행(WB)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개발도상국의 대외 부채 총액은 9조 3000억 달러로 2010년과 비교해 11년 만에 2배 이상 늘어났다. 스리랑카의 경우 대외 부채가 국민총소득의 69%, 잠비아는 125%에 이른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 회견에서 “이는 단기적·중기적으로 암울한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는 물론 개발도상국 경제까지 위기 신호가 커지면서 내년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에 버금가는 부진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날 보고서에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 3.2%에서 2.4%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09년과 2020년을 제외하고 1993년 이후 가장 낮은 전망치다. 블룸버그통신은 “세계 경제는 30년 만에 최악의 연도 중 하나를 맞이하고 있다”고 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