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토)

봉쇄 이어 백지시위에 화들짝 … 애플, 脫중국 속도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애플이 '탈중국 제품 생산'에 가속페달을 밟는다. 현재 90%가 넘는 중국산 애플 제품을 절반으로 떨어뜨리고, 인도와 베트남 생산량을 대폭 늘릴 전망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코로나19 방역 통제 강화와 연이은 시위로 생산에 차질을 빚는 아이폰 물량이 당초 300만대에서 1600만대까지 확대되면서 애플 손실이 커질 전망이다. 중국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일본 기업들도 탈중국 생산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애플은 협력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중국 밖에서의 공급망 확대와 생산량 증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애플은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그룹 의존도도 줄이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변화의 시발점은 중국 정저우 공장 시위였다. 약 30만명이 일하면서 아이폰 프리미엄 제품 생산의 최대 85%를 담당했던 공장에서 시위가 일어나 생산량에 급격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자들은 중국 당국의 과도한 코로나19 격리 통제와 임금수준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UBS는 올 하반기 아이폰 생산량이 1600만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 문제와 더불어 수요까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UBS는 "올해 아이폰 생산량 전망치가 지난해 대비 20% 감소한 7600만대에 그칠 것"이라며 "폭스콘의 제조 차질과 저가 모델 수요 약화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블룸버그 등 시장조사 업체들은 시위 초기 생산 차질 물량을 300만대로 예상했지만 시위 문제가 지속되면서 공급량 감소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UBS는 애플이 생산·공급망 변화를 추진하면서 폭스콘의 프리미엄 라인 생산 비중이 기존 85%에서 올해 말 70~75%로 떨어지고, 내년에는 65~70%로 더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이폰을 비롯해 애플 전체 생산제품의 중국 비중도 줄어들 전망이다.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제품 중 95.3%가 중국에서 생산됐다. 당시 인도는 3.1%, 베트남은 1.1%에 불과했다. 올해는 인도 비중이 6~7%로, 베트남은 2% 가까이로 확대될 전망이었는데 중국의 생산 차질 문제로 중국 외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WSJ는 "중국에서 생산 문제는 애플이 더 이상 공급망을 한곳에 묶는 것에 편안함을 느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앨런 영 전 폭스콘 임원은 "과거에는 집중의 위험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다"며 "자유무역 시대에는 일반적이고 예측 가능한 일이었지만,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애플은 공급망 다변화를 연초부터 검토했고, 본사가 중국이라고 해도 생산거점을 중국 밖에서 해줄 것을 요청해왔다. 실제로 애플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중국 업체인 럭스셰어정밀산업과 윙테크 등은 투자자 미팅에서 고객이 중국 밖에서 더 많은 일을 하길 바란다고 답한 바 있다.

다만 중국 밖에서 수백만 가지 부품을 조달해 단번에 생산량을 확대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케이트 화이트헤드 전 애플 운영관리자는"애플이 원하는 정도로 모든 부품을 조달할 수 있는 규모를 구축하기는 쉽지 않다"고 전했다.

애플 전문가인 궈밍치 TF인터내셔널증권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장기적인 목표는 인도에서 아이폰의 40~45%를 출하하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부품 공급 업체들은 앞으로 베트남에서 아이폰 외에 에어팟, 스마트워치, 노트북 컴퓨터 등 다른 애플 상품 제조량 증가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폭스콘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중국을 비롯한 대만, 체코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폭스콘은 지난 2일 산시성 타이위안 공장에 10억위안(약 1860억원)을 신규 투자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날 폭스콘은 스크린, 스마트폰, 클라우드 서버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운영하는 체코 자회사에 5898만달러(약 768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폭스콘은 "장기적 투자"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8월에는 베트남에 새로운 애플 공장 건립을 위해 3억달러(약 3900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

공급망 위기 속에서 일본 기업들도 탈중국 움직임을 서두르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지난달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일본 주요 제조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대만 유사 사태, 제로코로나 등에 따른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자국 외에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를 대체 조달처로 상정 중이었다.

현재 이들 일본 기업 중 중국 조달 비중을 '20% 미만'으로 하고 있는 비율이 34%로 가장 많은데, 5년 뒤에는 28%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반면 중국 조달 비중이 '5% 미만'인 비율은 현재 22%에서 5년 뒤 33%까지 늘어난다. 데이코쿠데이터뱅크에 따르면 이미 2020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중국에서 철수한 일본 기업은 2292개에 달했다.

닛케이 설문조사에서 일본 기업 78%가 반년 전보다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가 커졌다고 답했고, 53%는 중국에서의 조달 비중을 낮추겠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기계(60%), 자동차·화학(57%), 전기(55%)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기업이 많았다.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 확대 원인으로 이들 중 80%가 '대만 유사 사태에 대한 우려'를 꼽았고, 67%는 '제로코로나 정책'을 꼽았다.

[진영태 기자 /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