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애플 “중국 의존도 낮추자” …인도 비중 45% 확대 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스티븐 맥도넬 BBC 중국 특파원이 중국 정저우 폭스콘 공장 근로자들이 탈출 중인 모습으로 보이는 영상을 공유했다. 코로나19 폐쇄 조치에 반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애플이 중국에서의 생산을 대폭 줄이려는 계획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최근 협력업체들에 중국이 아닌 인도와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의 생산을 더 늘려달라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애플 분석 전문가인 궈밍치 TF증권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 인도의 비율이 40~45%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인도에서 생산되는 애플 제품의 비율은 한 자릿수다.

애플이 탈 중국 계획을 세운 것은 최근 중국 정저우 폭스콘 공장에서 발생한 인력 이탈 및 시위 사태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폭스콘이 운영하는 정저우 공장은 아이폰의 최대 생산기지로, 아이폰14 프로와 아이폰14 프로 맥스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그러나 지난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정책에 대한 현지 노동자들의 반발로 심각한 인력난에 빠졌다. 지난달 이 공장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하자 불안감을 느낀 노동자들이 집단 탈출해 고향으로 돌아갔고, 최근 충원된 신규 인력 대다수도 수당 문제와 엄격한 방역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인 뒤 공장을 떠났다.

헤럴드경제

스티븐 맥도넬 BBC 중국 특파원이 중국 정저우 폭스콘 공장 근로자들이 탈출 중인 모습으로 보이는 영상을 공유했다. 코로나19 폐쇄 조치에 반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사태 탓에 올해 아이폰 프로 생산량이 대폭 감소하게 되자 애플도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본격화했다는 것이다.

또한 애플은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에 대한 의존도 줄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 탈중국 계획이 실현된다면 중국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폭스콘은 지난 2019년 정저우 공장 한 곳에서만 320억달러(약 41조6000억원) 상당의 제품을 수출했다. 지난해 중국 전체 수출에서 폭스콘이 차지하는 비율은 3.9%였다.

다만 인도나 베트남에 애플 기술팀이 다양한 부품 제조업체들과 연계해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중국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베트남과 인도의 생산환경도 중국만큼 용이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onlinenew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