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커밀라 왕비가 폐지한 영국의 시녀 제도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세시대 유급 하인으로 시작

현재는 귀족 출신 보좌·말동무

왕실 음모·정치 갈등에 휘말리기도

커밀라 왕비가 용어 변경·역할 축소



세계일보

영국 커밀라 왕비가 29일(현지시간) 런던 버킹엄궁에서 세계 여성 폭력 피해와 관련한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 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최측근 시녀였던 수전 허시가 인종차별적 발언을 했다가 왕실 직위에서 물러나는 일이 발생했다. 런던=AP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부인 커밀라 왕비가 시녀(Ladies-in-Waiting) 제도를 폐지한 가운데 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최측근 시녀였던 수전 허시가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왕실 직위에서 물러나면서 영국 시녀제의 유래와 기능 등에 관심이 모인다.

2일 외신들에 따르면 영국 시녀제의 역사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워싱턴포스트(WP)는 “시녀의 개념은 중세 이래 유럽 역사에서 여왕·왕비를 지원하기 위해 존재해왔다”며 “여왕·왕비가 옷을 입거나 목욕을 할 때에도 시녀가 도움을 줬으며, 초창기에는 급여를 받는 하인들이 그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온라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국왕과 떨어져 오랜 시간을 보낸 왕비들은 하인과 가신들로 구성된 별도의 궁을 유지할 필요가 있었으며, 하인 중 일부는 왕비의 의복 착용, 개인 위생 및 기타 사적인 일들을 보조해야 했기에 여성들로 구성됐다”고 설명한다.

영국 군주제가 1066년 정복왕 윌리엄 1세의 대관식부터 시작됐으니, 시녀제 역시 비슷한 시기에 형성됐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일보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앞줄 맨 오른쪽) 생전인 1997년 3월9일 윌리엄 왕세자(앞줄 가운데)의 성인식을 맞아 촬영한 왕실 가족사진. 뒷줄 왼쪽 두 번째가 윌리엄 왕세자의 대모인 수전 허시이다. 고 다이애나(앞줄 왼쪽 두번째)의 모습도 보인다. 런던=AP연합뉴스


궁녀·하녀와 비슷한 개념의 유급 일자리였던 시녀의 지위는 시간이 지나며 변화한다. 군주의 신성(神性)이 강조됨에 따라 군주나 왕비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신체적 접촉을 하는 시녀 역시 신분이 높은 사람이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때부터 시녀 역할은 귀족 출신 여성에게 맡겨졌다. 이들은 급여도 받지 않았다. 이 관행이 오늘날까지 내려오게 된다.

거느리는 시녀의 규모는 군주마다 달랐다. 100명 이상의 시녀를 둔 때도 있지만, 대부분은 훨씬 더 적은 규모를 유지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경우 최소 5명의 시녀를 유지했고, 여왕이 직접 선발했다고 영국 스카이뉴스는 전했다.

여왕이나 왕비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임무를 맡은 까닭에 시녀들은 왕실 음모에 휘말리거나, 정치권의 영향을 받는 일도 있었다. 1839년 발생한 이른바 ‘침실 위기’(Bedchamber Crisis)가 대표적 사례다.

당시 빅토리아 여왕은 휘그당 성향이 강했는데, 휘그당 출신 윌리엄 램 총리가 사의를 밝히자 마지못해 토리당(현 보수당) 대표 로버트 필에게 새 정부를 구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필 대표는 일부 침실 시녀들을 휘그당 정치인의 아내나 친척들로 교체해야 한다며 조건부 수락 의사를 밝혔다. 빅토리아 여왕이 이를 수용하지 않자 필 대표 역시 총리직을 거부하는 것으로 맞서면서 왕실과 정치권 사이의 긴장은 최고조에 달했다.

중세부터 근대 초기까지 시녀들은 여왕·왕비의 의복 착용과 탈의, 목욕 등을 돕는 일을 맡았다. 하루 대부분을 여왕·왕비와 함께 보내며 도우미, 친구 역할을 했던 셈이다. 브리태니커는 “여왕의 사적 공간에서 우정과 오락을 제공하는 역할이었기에 많은 시녀가 노래, 악기 연주, 춤에 능숙해야 했다”며 “그들은 외교 행사에 참여하는 등 왕실의 공적인 삶에서도 중요한 임무를 해야 했기에 시녀가 되기 위한 준비에는 다양한 언어 학습이 포함됐다”고 설명한다.

세계일보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생전인 2011년 1월 최측근 시녀인 수전 허시와 함께 차량을 타고 이동하고 있다. 샌드링엄=AP연합뉴스


현대에도 유럽의 군주제 국가에서는 시녀제를 유지한다. 주로 여왕·왕비의 말동무, 공식석상에서 개인 비서나 말동무 역할을 하고 있다.

영국의 새 왕비가 된 커밀라는 최근 시녀 대신 ‘왕비의 동반자들’(Queen's Companions)이라는 용어를 쓰겠다고 밝혔다. 서신에 답장하기, 침실 보필 등 시녀가 하던 기존 일상적·행정적 역할은 아예 폐지하고, 중요한 공식 행사에만 참여해 왕비를 보필하는 훨씬 더 가벼운 역할을 맡게 된다고 BBC방송은 전했다.

그런데 왕비의 동반자들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 행사에서 사달이 났다. 커밀라 왕비가 세계 여성 폭력 피해와 관련해 버킹엄궁에서 주최한 행사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최측근 시녀였던 수전 허시(83)가 흑인 참석자에게 인종차별적 발언을 내뱉은 것이다.

허시는 아프리카와 카리브계 가정폭력 피해자 여성들을 돕는 단체인 시스타 스페이스의 대표인 응고지 풀라니에게 “어디서 왔느냐”고 물었고, “런던에서 왔다” “나는 영국에서 태어난 영국인이다”라는 답변이 돌아왔는데도 계속해서 출신을 캐물었다. 거듭된 추궁에 풀라니가 “부모님은 1950년대에 처음 (영국에) 왔는데…”라고 말하자, 허시는 그제야 “이제 대화가 좀 통하네요. 당신은 카리브해 출신이군요”라고 대꾸했다. 대화가 오가는 과정에서 허시는 풀라니의 명찰을 확인하려고 손으로 그의 머리카락을 치우는 무례한 행동도 했다고 한다.

세계일보

엘리제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생전인 2012년 런던의 한 학교를 방문했을 때 사람들이 건네준 꽃다발을 시녀가 챙기고 있다. 런던=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BC에 따르면 문제 발언을 한 허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최측근 시녀였고 찰스 3세 국왕 즉위 후에도 새로운 직책(Ladies of the Household)을 맡아 왕실 내에 자리를 지킨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커밀라 왕비가 지명한 6명의 왕비의 동반자들 중에 그의 딸 캐서린이 포함되기도 했다.

허시는 엘리자베스 2세가 셋째인 앤드루 왕자를 출산한 1960년 왕실에 처음 들어와 서신에 답장하는 일을 맡았다. 찰스 3세의 첫 번째 부인 고 다이애나, 해리 왕자의 부인 메건 마클이 새로 왕실에 합류했을 때 예법 등을 가르치기도 했다.

여왕의 신임을 듬뿍 얻어 ‘넘버 원 헤드 걸’(No.1 head girl)이라고 불렸고, 여왕의 남편 필립공 장례식 때 여왕 옆에 서 있던 유일한 인물이다. 여왕의 곁을 60년 이상 지킨 그는 영국 왕위 계승 1순위인 윌리엄 왕세자의 대모이기도 하다.

그의 작고한 남편은 1986년부터 10년간 BBC 이사장을 지낸 마마듀크 허시다. 이들 부부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삶을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더 크라운’에도 살짝 등장한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