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제조업체 피해 우려 커지는데…대화 없이 담만 쌓는 정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철강·자동차 등 적재 공간 ‘한계’…상당수 공장은 가동 멈춰

제조업체 “이번주 최대 고비”…시민단체 “정부, 갈등 키워”

경향신문

석유 공급 끊긴 주유소 서울 서초구의 한 주유소 유가표시판에 1일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휘발유 품절이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파업이 1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철강업계 등 제조업체 사업장 곳곳의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를 해결해야 할 정부는 화물연대와의 대화는 외면한 채 강경한 태도로만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경북 포항시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지역에서의 누적 피해액이 1300억원에 이른다”고 1일 밝혔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화물연대 총파업 이후 하루 7000~8000t의 제품 출하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하루 평균 1만t의 출하가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현대제철 당진·인천·포항·순천·울산 등 5개 사업장은 철강 5만t 전량이,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철강 13만여t이 적체돼 공간이 한계치에 다다르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조만간 제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국 콘크리트 업계는 원자재 반입이 불가해지면서 상당수가 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경기도 시멘트 가공업체 80여곳 중 50여곳은 문을 닫았다. 나머지 30여곳은 일부 물류가 재개되면서 공장은 가동 중이지만, 생산량은 평소의 30% 수준에 그치고 있다. 광주·전남의 시멘트 가공업체 39곳 역시 대부분 공장 가동을 멈췄다. 콘크리트 업계는 파업 장기화를 우려하고 있다. 경기도 콘크리트 공업협동조합 관계자는 “이 사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기 전까지 어려움은 계속될 것 같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자동차업계도 비상이다. 한국타이어 대전공장은 컨테이너 반출량이 평소 대비 40% 정도 수준으로 떨어졌다. 현재 비조합원 위주로 반출을 하는 상황이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과 곡성공장은 이날부터 타이어 생산량 30%가량을 줄이기로 했다. 광주공장은 하루 생산량을 3만3000본에서 2만본으로, 곡성공장은 3만2000본에서 2만7000본으로 각각 줄인다. 파업 여파로 제품 출하가 어려운 데다 야적에도 한계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이번 주말쯤 공장 가동 자체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석유화학업계도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다. 파업 여파로 석유 공급이 끊긴 주유소가 증가하고 있고, 정유사인 GS칼텍스의 운송 차질도 계속되고 있다.

노동·시민사회단체 등은 정부가 노조와의 대화를 통해 근본적인 해법은 내놓지 않고 되레 사회적 갈등만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우식 참여자치21 사무처장은 이날 통화에서 “안전 등 생존권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정부가 대화가 아닌 업무개시명령 카드를 꺼내들면서 파업의 출구를 찾기 더 어렵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합원과 비조합원 간 갈등을 부추기고 있을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어떻게 하면 협상을 통해서 잘 해결할 것인지 노동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도 성명을 내고 “정부는 업무개시명령 등 강경일변도로 대처하고 있다”며 “화물연대 총파업을 끝까지 지지하겠다”고 했다.

고귀한·윤희일·백경열·김태희 기자 go@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