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與, 국정조사 볼모 잡고
무책임한 지연작전으로 일관해”
정부案 삭감한 ‘민주당案’ 처리
과반의석으로 처리 가능하지만
실제사례 없어 부담스러운 상황
與野 심사 속개… 소위 안거쳐 논란
![]() |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2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의힘이) 국정조사를 볼모로 잡고 무책임한 지연작전으로 일관하겠다면 민주당 단독이라도 예산 심사에 임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이 지연작전을 포기하고 민주당 탓을 그만두면 지금이라도 법정 시한 내 예산 처리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날 이재명 대표에 이어 박 원내대표까지 단독 예산안 심사를 언급하면서 내년도 예산안 처리를 두고 여야 분위기가 험악해지고 있다.
또 이 장관에 대한 탄핵으로 바로 가자는 의견에 힘이 실리면서 상황이 더 악화할 가능성이 나온다. 한 초선의원은 세계일보와 통화에서 “해임건의안을 발의하기도 전에 거부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여당이 국정조사 특위 보이콧을 운운하면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자고 하는 말들이 꽤 있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특히 국민의힘뿐 아니라 정부가 심사를 거부한 것도 문제 삼았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박정 의원은 “황당한 건 예결위 예산 심사 과정에서 여당과 합의가 안 됐다는 이유로 정부 부처가 심사 참여를 거부한 것”이라며 “예결위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계속 지체할 수 없다는 이유로 단독 예산안 처리 카드까지 꺼내 든 셈이다. 169석을 보유한 거대야당이기 때문에 실제로 정부가 제출한 639조원에서 일부 깎인 ‘민주당 예산안’으로 처리는 가능하다. 국회 예결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정부 동의는 증액에 대해서만 받게 돼 있기 때문에 삭감에 한해서만 하는 건 국회에서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의결할 수 있는 부분이라 아무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 |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왼쪽)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 원내대표, 김석기 사무총장, 정점식 의원. 서상배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국으로 치달았던 예산안 심사는 이날 속개했다. 다만 예산안 사업 심사 대신 그동안 심사했던 소회를 밝히면서 마무리했다. 위원장과 양당 간사 간 협의체로 이관해 감액 심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다만 공식 소위는 아니어서 ‘짬짜미’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 장관 해임건의안 발의에 국민의힘이 국정조사 보이콧으로 맞서자 이를 예산안과 엮으려 한 민주당 지도부 방침은 당내에서도 다소 무리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야권 관계자는 통화에서 “중도층이 볼 때 자꾸 사안을 엮어서 가져가려 하는 건 너무 정략적으로 비친다”며 “특히 예산안은 총선을 1년 앞둔 내년 지역 사업과 연결돼 있는데 너무 강성으로 가려는 것 같다”고 우려했다.
실무선에서도 ‘야당’이 단독으로 처리한 적은 없어서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민주당도 이른바 ‘이재명표 예산’으로 불리는 지역화폐 관련 예산 등은 증액해야 하는 입장이어서 ‘감액’만 할 수 있는 야당 단독 예산안 처리는 실현 불가능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에선 예산안 처리 이후 국정조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자고 합의한 만큼 민주당이 약속을 지키라고 압박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이 장관 해임건의안을 강행 처리한다면 정치를 포기하는 것이고, 오로지 이 대표 구하기에 올인하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며 “겨우 불씨 살린 예산안 처리 후 국정조사 합의인데 모든 것이 제대로 되도록 합의를 지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최형창·박지원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