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시진핑의 '제로 코로나'는 비현실적"...미국에 한 방 맞은 중국 사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백악관 코로나 조정관 "백신 접종 우선시해야"
3년 지속된 제로 코로나 반발 중국 시위 확산
백신 개발 늦고 국가 자존심에 정책 전환 난항
한국일보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우루무치 화재 참사 추도식 도중 시민들이 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반대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베이징=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책임자가 중국의 ‘제로(0) 코로나’ 정책이 비현실적이라고 꼬집었다. 중국에서 봉쇄 일변도 정책에 대한 항의 시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백신 접종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조언도 내놓았다. 하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인 데다 기술적으로도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조기 생산이 어려워 중국이 이 같은 조언을 따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백악관 코로나 조정관 "제로 코로나 비현실적"


아시시 자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조정관은 27일(현지시간) 미 ABC방송에 출연, 중국의 코로나 봉쇄 정책 시위 관련 질문에 “우리는 제로 코로나 정책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자 조정관은 “분명히 그것은 우리의 전략이 아니며 우리는 그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인들에게는 현실적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전략은 백신 접종으로 면역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는 오미크론 같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전염성이 강한 변이를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자 조정관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전략이 코로나 변이를 억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거듭 지적했다. 그는 “중국은 모든 사람, 특히 노인들에게 백신을 맞히는 전략을 추구하기를 권고한다”며 “그것이 이 바이러스로부터 나오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3년 가까이 지속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반발하는 시위가 중국 서부 신장위구르자치구는 물론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경제ㆍ사회 비용이 급증하고 확진자는 계속 늘어나면서 중국 민심이 폭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일보

26일 중국 상하이의 한 병원에서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을 희망하는 한 주민이 흡입형(inhalable) 백신을 복용하고 있다. 상하이=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드 코로나' 전환 준비 안 된 중국


코로나 대응을 위한 중국 내 백신 접종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60세 이상 중국 인구 2억6,700만 명 중 3분의 1은 3차 백신 접종을 받지 못했다. 젊은 층은 물론 고령층 백신 접종도 진도가 나가지 못하면서 코로나는 확산하고 피해는 커졌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는 백신 시노벡과 시노팜 등은 전통적 백신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서 화이자ㆍ모더나 같은 mRNA 방식 백신에 비해 효과가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중국도 mRNA 기술을 사용하는 6개의 백신을 비롯해 총 12개 이상의 새로운 백신을 개발 중이지만 결과가 나온 것은 아직 없다.

중국 정부가 외국산 백신의 이점을 외면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도 있다. 중국 컨설팅업체 트리비움 분석가 신란 앤디 첸은 “중국 관점에서 볼 때 국가적 자존심을 잃는 비용, 외국 경쟁자에게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는 비용이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감염 예방에 100% 효과적이지는 않은, 약간 더 나은 백신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고 FT에 밝혔다.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 전환을 막는 요소에는 중국 국민과 시 주석 자존심도 있다. 코로나 확산 초기인 2020년 9월 시 주석은 중국 코로나 퇴치 영웅들에게 훈장을 수여하는 등 제로 코로나 정책 승리를 선언했다. 미국과 서방 국가에서 코로나 사망자가 급증하는 것을 보면서 중국인들도 제로 코로나로 중국의 자존심을 지켰다고 판단한다는 게 FT 분석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제로 코로나 폐기로 정책 실패와 후퇴를 인정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 대규모 확진자 수용 능력을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코로나 출구 전략을 택했다 낭패를 본 홍콩처럼 의료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중국이 섣부른 정책 전환을 하기도 어려운 여건이다.


워싱턴= 정상원 특파원 ornot@hankookilbo.com
허경주 기자 fairyhkj@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