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그때는 스탈린, 이번엔 푸틴이…전쟁 속에서 맞는 우크라이나 ‘홀로도모르’ 90주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6일 홀로도모르 90주년

각국 정상 희생자 추모 메시지

독일은 제노사이드 규정 추진

경향신문

홀로도모르 추모 장면|우크라이나 국립 홀로도모르 기념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키이우에는 ‘홀로도모르 조각상’이 있다. 양 갈래로 머리를 땋아 내린 비쩍 마른 소녀가 밀 이삭을 움켜쥔 손을 가슴에 포갠 채 맨발로 서 있는 모습이다. 국립 홀로도모르 기념관 입구에 설치된 조형물이다.

홀로도모르는 이오시프 스탈린 체제의 소련이 집단 농장화를 추진하던 중 1932~1933년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진 대기근 사태를 말한다. 최소 450만명이 이 기간 중 굶어 죽은 것으로 추산된다. 우크라이나는 홀로도모르가 소련의 농업정책 실패의 결과가 아니라 소련 통치에 반발하는 우크라이나 민족을 말살하기 위해 스탈린이 고의로 일으킨 ‘집단학살(제노사이드)’이라고 본다. 매년 11월 넷째주 토요일인 홀로도모르 기념일에는 많은 사람들이 홀로도모르 조각상에 꽃과 빵을 갖다 놓으며 비극을 추모한다.

26일(현지시간)은 홀로도모르 90주년이었다.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 맞이한 홀로도모르 90주년은 그 어느 때보다도 과거의 참상을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나온다.

경향신문

홀로도모르 조각상|우크라이나 국립 홀로도모르 기념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지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 등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홀로도모르 기념연설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스탈린과 마찬가지로 고의로 “식량 위기”를 일으켰다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홀로도모르에 비유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들은(러시아) 폭탄, 총탄, 추위, 굶주림으로 우리를 다시 파괴하고 싶어한다”며 “많은 나라들이 홀로도모르를 제노사이드로 인정하는 데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벨기에, 리투아니아, 폴란드, 헝가리의 총리를 비롯한 각국 정상과 고위급 인사를 초청해 홀로도모르 기념관을 참배하고, 우크라이나의 아프리카 곡물 수출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우크라이나가 유럽연합(EU) 회원국 등 20여개 국가들과 함께 1억5000만달러(약 2000억원)의 기금을 마련해 에티오피아, 수단, 남수단, 소말리아, 예멘 등 식량 부족 위기에 처한 국가들에 우크라이나 곡물을 보낸다는 내용이다.

해외 정상들도 홀로도모르를 전쟁의 참상과 연결지어 언급하고 있다. 로베르타 메솔라 유럽의회 의장은 이날 트위터에 홀로도모르 조각상 사진을 올리며 “우크라이나인들은 다시 한번 생명을 지키기 위해 싸우고 있다”며 “소련 정권에 의해 굶어 죽도록 내버려진 사람들을 기억한다 ”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2일 성명을 내고 “올해 11월은 홀로도모르 90주년”이라며 “이오시프 스탈린은 1932-1933년에 수백만명의 무고한 우크라이나 여성, 남성, 어린이를 죽게 한 고의적인 기근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에 가혹하고 억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도 “26일은 홀로도모르의 대량 학살 기념일”이라며 “이 학살의 희생자들을 위해, 그리고 오늘날 침략의 순교로 고통받고 있는 어린이, 여성, 노인, 아기 등 수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을 위해 기도하자”고 밝혔다.

전쟁이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중동 국가들의 식량위기로까지 번지는 모습도 홀로도모르를 떠올리게 하고 있다. 네덜란드 부총리 봅커 훅스트라는 27일 트위터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의 도구로 식량을 사용하는 것은 홀로도모르의 공포를 반영한다”며 “어제 우리는 홀로도모르 기념관에서 이 끔찍한 사건을 반성하기 위해 잠시 멈췄다”고 말했다.

독일 의회는 홀로도모르를 제노사이드로 규정하는 결의안 채택을 준비하고 있다. 독일·우크라이나 의원 연맹 의장인 로빈 바그너 녹색당 의원은 프랑크푸르트알게마이네차이퉁과의 인터뷰에서 “푸틴은 스탈린의 잔인하고 범죄적인 전통에 서 있다. 러시아는 또 다시 우크라이나인들의 생계 수단을 박탈하고 국가 전체를 예속시키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며 “홀로도모르를 제노사이드로 분류하는 것은 ‘경고의 신호’”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크라이나 보안국의 부문별 국가 기록 보관소에서 공개한 1932년 오데사에서 곡물이 몰수되는 모습을 담은 사진|유로마이단 프레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홀로도모르가 제노사이드인지 여부는 학계의 논쟁거리이다. 기근은 소련 정부가 집단농장으로 내놓지 않은 자영농의 토지를 황폐하게 만들고 가축을 몰수하면서 발생했다. 이로 인해 농업생산량이 대폭 떨어졌고 굶는 사람들이 나타났지만, 소련 정부는 우크라이나인의 저항을 꺾기 위해 식량 배급을 일부러 해 주지 않았다는 것이 제노사이드를 인정하는 쪽의 주장이다. 우크라이나 외에는 미국, 바티칸, 헝가리, 오스트리아, 리투아니아 등 16개국이 홀로도모르를 제노사이드로 인정한다. 제노사이드 규정에는 역사적 평가 외에도 소련과 러시아를 겨냥한 정치적 평가도 반영돼 있다.

박은하 기자 eunha999@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