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주담대 상단 곧 연 8% 넘어설듯…한은 총재 “금리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 선그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준금리 첫 ‘6연속’ 인상…가계 이자부담 1년 새 38조원 ‘폭증’

세계일보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주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후 은행 대출창구와 주요 대출·부동산 커뮤니티에는 A씨와 같이 이자 상환 부담을 토로하는 게시글과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차주들은 전월에 이어 이달에도 기준금리가 또 오르자 관련 뉴스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대출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다.

뉴스1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기준금리를 0.25%p(포인트) 인상했다. 지난달 사상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한 달 만에 추가 인상이다. 또한 4·5·7·8·10월에 이은 한은 사상 최초의 여섯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다.

기준금리 인상은 불과 1년여만에 9차례나 이어지면서 대출자들의 고통이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8월 0.5%였던 기준금리는 이달 3.25%로 무려 2.75%p가 올랐다. 2012년 7월(3.25%) 이후 10년4개월만에 최고 수준이다.

기준금리가 급등함에 따라 은행 대출금리도 순차적으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 폭(0.25%p)만큼 대출금리가 오른다고 가정하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약 3조4500억원(1756조8000억원×78.5%×0.25%)가량 더 늘어난다. 대출자 1인당 약 16만5000원 수준이다. 지난해 8월 이후 9차례 기준금리가 인상(2.75%p)된 것을 고려하면, 1년여 만에 불어난 가계 이자 부담액은 37조9000억원에 달한다. 차주 1인당 평균 연이자 부담 증가액은 약 180만원 정도로 추산된다.

실제 차주들이 느끼는 부담은 더 커질 수 있다. 은행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 등을 더하는 방식으로 산정되기 때문이다.

금융업계에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영향으로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조만간 연 8%를 넘어선 뒤 내년 초엔 9% 선도 위협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주담대 금리가 8%를 넘어서는 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약 14년 만의 일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 7% 후반(연 7.832%, 24일 기준)으로 8% 진입을 눈앞에 뒀다. 주담대 혼합(고정)금리와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역시 금리 상단이 연 8%에 근접했다.

지난해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 5억원을 연 4% 금리(30년 만기, 원리금균등분할상환 조건)로 빌린 경우 대출 초기 월이자 부담은 약 165만원이었다. 원금을 합친 원리금은 238만원 정도였다. 그러나 대출금리가 연 8%로 오르면 월이자만 약 330만원(원리금 약 366만원)으로 2배가량 늘어난다. 만약 연 9%까지 금리가 오르면 월이자는 약 375만원(원리금 약 402만원)으로 불어난다.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4824만원으로, 직장인 연봉 수준에 육박한다.

더 걱정인 건 기준금리 인상이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서 미국(4.0%)과의 격차는 일단 0.75%p로 좁혀지지만, 연준이 다음 달 최소 빅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만 밟아도 격차는 다시 1.25%p로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도 환율 방어 등을 위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다만 일각에선 최근 금융당국이 대출금리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은행권에 과도한 수신경쟁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있고, 최종 기준금리가 3.5% 수준에서 멈출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대출금리 상승 속도와 폭이 조금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대출금리가 상당한 수준으로 올라 있고, 당장에 금리인하 시기를 예측하긴 어려운 상황이어서 차주들의 이자 부담 고통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이후 기자회견에서 "최종금리 수준에 도달한 이후에도 금리를 낮추기 위해선 물가 수준이 물가목표(2%)로 충분히 수렴하고 있다는 증거를 확신한 이후에야 금리 인하에 관한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리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