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레미콘 '셧다운' 배수의진, 시멘트 제조사와 재협상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머니투데이

레미콘 공장 전경./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 레미콘 업계가 '무기한 셧다운(조업중단)' 초읽기에 돌입한다. 레미콘과 시멘트 업계는 정부 중재로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오는 8일 재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레미콘 업계는 시멘트 단가 인상을 철회하거나 내년 3월까지 미뤄주지 않을 경우 오는 10일 조업 중단을 하겠다는 배수의 진을 쳤다. 반면 시멘트 업계는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올해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맞섰다.

7일 시멘트·레미콘 업계는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 주도로 마련된 단가 인상협상을 진행했으나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전국 900여개 제조사로 구성된 임시단체인 중소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레미콘 비대위)와 주요 시멘트 업체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이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논의를 진행했다.

이들은 오는 8일 다시 협상을 재계할 예정이다. 이날 동반위가 중재에 나섰지만 레미콘·시멘트 업계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양측은 인상 시기를 두고 팽팽하게 맞섰다. 시멘트 제조사가 당초 입장에서 한 발 물러나 단가인상 시기를 지난 9월에서 오는 11월로 두 달 늦췄지만 레미콘 업계는 건설사와 계약조건을 이유로 내년 3월까지 미뤄 줄 것을 요구했다.

레미콘 업계는 연단위로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만큼 건설사에 추가 단가인상을 수용하긴 어렵다고 토로했다. 레미콘 업계는 통상 매년 2~3월 건설사 계획에 맞춰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이번 가을 성수기만 보내고 단가를 올리는 게 어떻겠냐고 얘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매년 1~2월 시멘트 제조사가 대수선에 나서는 걸 감안하면 큰 손실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레미콘·시멘트 업계는 국정감사 전 앞다퉈 국회를 찾아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이하 레미콘조합)는 지난달 말 국회를 찾아 올해 최대 35%까지 급등한 시멘트 가격 인상에 대한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이에 앞서 시멘트업계를 대표해 이현준 한국시멘트협회장(쌍용C&E 사장)은 국회에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어려움을 토로했다.

시멘트 업계는 주요 원자재인 국제 유연탄(고효율 석탄) 가격 급등을 이유로 단가인상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연탄은 시멘트 원가의 20~30%가량을 차지하는데 주요 수입국인 호주산 가격이 지난해 1톤당 평균 130달러에서 지난달 400달러를 넘어서 3배 가량 급등했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단가인상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주요 시멘트 제조사는 1톤(t)당 10~15%안팎의 단가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쌍용C&E는 다음달 1일부터 톤당 시멘트 가격을 10만4800원으로 15.4% 인상하기로 했고, 삼표시멘트는 지난달부터 톤당 9만4000원에서 10만5000원으로 11.7% 올려 공급하고 있다.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가 15% 인상안을 통보했고, 성신양회도 13.5% 인상에 나섰다.

합의에 실패해 레미콘업계의 경고대로 레미콘 조업 중단이 발생하면 전국 건설현장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가을 성수기에 건설현장이 멈추게 될 경우 내년 주택공급 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시멘트와 레미콘, 건설사까지 단가 협상으로 매번 몸살을 앓고 있는만큼 이들은 합리적인 논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일치된 목소리를 냈다. 업계 관계자는 "납품단가 연동제나 정부의 개입강화 등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재윤 기자 mto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