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fn스트리트] OPEC+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연합뉴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오는 11월부터 원유 생산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 OPEC+는 5일(현지시간) 월례 장관급 회의 후 낸 성명에서 다음 달 하루 원유 생산량을 이달보다 20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1960년 결성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걸프만 국가들과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등 비중동권 산유국을 포함해 현재 13개국이 회원국이다. 1970년대 석유감산 조치로 글로벌 '오일쇼크'를 야기해 존재감을 과시했었다.

2010년대 후반부터 OPEC의 카르텔 효과는 약화됐다. 셰일혁명으로 미국이 최대 산유국이 된 데다 러시아, 멕시코,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같은 비OPEC 산유국이 등장하면서다. 이후 OPEC과 비OPEC 산유국들이 모여 공급량 조절을 담합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비엔나그룹으로 불리는 산유국 협의체 'OPEC+'가 출현한 배경이다.

OPEC+의 두 주축인 사우디와 러시아가 최근 손잡고 석유감산에 나설 태세다. 최근 국제유가가 급락할 기미를 보이자 함께 방어에 나선 것이다. 유가하락이 미국의 잇단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강세에 기인한다고 보면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불붙은 글로벌 에너지전쟁에 근래 미국과 척을 진 사우디까지 참전한 셈이다.

이번 에너지대전의 특징적 양상은 '킹달러 대 고유가'로 압축된다. 기축통화국(미국)과 OPEC+의 힘겨루기가 본질이란 뜻이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OPEC+가 원유생산량을 하루 200만배럴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거론되는 이유다.

대규모 감산이 이뤄지면 산유국이 아닌 나라들에 유탄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한국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데다 석유수입 비중도 커 '강달러'와 고유가 모두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고유가가 현실화하면 국내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게 뻔하다. 가뜩이나 무역적자가 커지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이중고다. 정부와 기업, 가계 등 모든 경제주체가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미리 면밀한 대응 시나리오를 완비할 때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