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고령인구 900만명 돌파…노인을 위한 한국, 어떻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령자 48%, 국민연금으로 노후준비

절반 이상은 생활비 위해 일자리 원해


한겨레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65살 이상 고령인구가 올해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갖기를 원하는 고령자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를 보면, 올해 7월1일 기준 국내 65살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천명으로 지난해에 견줘 5.2%(44만7천명) 늘었다. 고령인구가 900만명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전체 인구(5163만명)에서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17.5%로 불어났다.

통계청은 오는 2025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이 20.6%로 올라가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 기준상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부른다. 한국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7년으로, 일본(10년)·미국(15년)·영국(50년) 등보다 훨씬 짧다. 가구주 연령이 65살 이상인 고령자 가구도 올해 전체 가구의 24.1%에 머물렀으나, 2050년에는 전체의 절반인 49.8%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가족과 노후준비에 관한 생각도 바뀌고 있다.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견해는 2010년 38.3%에서 2020년 27.3%로 감소했다. 반면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37.8%에서 49.9%로 올라갔다. 본인과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율은 65%에 달했다. 자녀와 친척 지원은 10년 새 39.2%에서 17.8%로 대폭 줄었다.

전체 고령자 중에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56.7%였다. 이 가운데 48.4%는 노후준비 방법으로 국민연금을 꼽았다. 전체 고령자의 절반이 넘는 54.7%는 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서라는 응답 비율이 53.3%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기준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자산-부채)은 4억1048만원으로 1년 전보다 17.4%(6094만원) 늘어났다. 전체 자산의 80% 남짓을 차지하는 부동산 가격 상승 덕분이다. 2019년 기준 국내 66살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전체 인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중위소득의 절반 이하 소득자 비율)은 43.2%였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22곳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상대적 빈곤율)은 프랑스(4.4%)의 10배, 미국(23.0%)의 2배가량에 이른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남다른 시각, <한겨레> 네이버 뉴스 구독
▶▶아침을 바꾸는 습관 H:730▶▶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