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에너지 공룡’ 삼성 출격에…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화들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삼성전자가 지난 2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박람회 'IFA'에서 '에브리데이 서스테이너빌리티' 전시를 통해 친환경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인 ‘RE100’에 가입하면서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28일 재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적고,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에너지 공룡’인 삼성전자가 RE100 추진을 본격화하면 혼란이 생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친환경 경영을 주도해왔지만 2020년대 이후 본격화한 글로벌 탄소중립 움직임에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왔다. RE100 달성을 위해선 사업장 내 직접적인 탄소배출뿐 아니라 사용전력 등 간접적인 탄소배출도 ‘제로’(0)로 만들어야 한다. 미국·유럽 등 고객사 요구에 맞추기 위해선 RE100 가입이 필수 선택이었으나 국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는 후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 전문가는 “삼성전자가 준비를 마치고도 RE100 가입 시기를 저울질했던 것으로 안다”며 “특히 새 정부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기존 30.2%에서 21.5%로 하향 조정하면서 고민이 깊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미국·유럽·중국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률 100%를 달성했지만, 유독 국내 사업장에서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세계 최하위 수준이기 때문이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에너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기 생산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8.6%에 그쳤다.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0.1%)·쿠웨이트(0.2%)·알제리(0.8%)·이란(2.3%) 등이 최하위권이고, 그다음이 대만(6.5%)과 한국이다. 지난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만3096GWh(기가와트시)인데,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제철 등 산업용 전력 사용 상위 10개 기업의 사용량에 미치지 못한다.〈그래픽 참조〉

중앙일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RE100 이행 방법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직접 생산 ▶‘녹색 프리미엄’(전기료에 추가 요금을 내면 재생에너지 사용 간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기 소비자에게 직접 파는 전력거래계약(PPA)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RE100 달성을 위해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REC나 녹색 프리미엄 구매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통해 490GWh를 구매했는데, 국내사업장에서 사용한 전력량(1만8412GWh)의 2.6%에 불과하다.

RE100을 추진 중인 대기업 관계자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삼성전자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을 1%만 늘려도 REC 가격이 폭등해 산업계 전반에 대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허약한 시장에 거대 포식자가 등장한 셈”이라고 말했다. 발전 기반 확충에도 한계가 있어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선다는 의미다.

삼성이 RE100 가입 선언을 하기 전에도 REC 가격은 지속해서 상승세였다. 지난해 1REC 평균 가격은 3만4667원이었지만 올 1월 4만6211원, 지난달엔 6만2160원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REC 구매에 가세하게 되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중앙일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중앙일보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더욱이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윤석열 정부 들어 21.5%로 낮추면서 인프라의 획기적인 확대는 어려워진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의 태양광 발전사업 의혹을 조사하고 있는 데다, 전력도매가격(SMP) 상한제까지 시행되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지금보다 더 위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한전의 전력 구매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발전사 판매가 인상 폭에 상한을 두는 SMP 상한제를 추진 중이다.

PPA도 한전이 사실상 국내 전력망을 독점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재생에너지 구매 때 한전이 전력망 사용료 등 부대비용을 받아가는데, 이를 더하면 요금이 두 배 가까이 뛰기 때문이다.

김경식 고철연구소장은 “한전이 독점하고 있는 송·배전망을 개방하고, 정부가 소매 경쟁을 허가해야 한다”며 “시장을 열어주면 전기차 배터리처럼 관련 투자도 늘고 기술도 향상돼 산업계 전반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생산 시점과 수요가 맞지 않고, 변동성·간헐성이 크다는 것”이라며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기술 개발을 통해 원하는 시점에 저장해둔 전기를 쓸 수 있게 되면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신재생에너지=수소·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신에너지’와 태양·물 등을 변환해 이용하는 ‘재생에너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