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지구 근접 지름 140m 이상 소행성 2만5000여개…떨어지면 대도시 초토화[소행성, 지구와 충돌하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600만년 전 10km짜리 충돌

공룡 등 생명체 75% 소멸

러시아서 ‘20m’ 공중 폭발

건물 부서지고 사람 다쳐

경향신문

2013년 2월15일(현지시간) 러시아 첼랴빈스크 하늘에서 지름 20m의 소행성이 지구 대기 중에서 폭발하며 흰 연기 구름을 만들고 있다. 이 폭발로 생긴 충격파로 120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6일(현지시간) 소행성을 방어하기 위한 실험에 나선 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했을 때 입을 막대한 피해 때문이다. 미리 대비해 소행성이 지상에 떨어지는 일만큼은 막자는 것이다. 문제는 작은 소행성 상당수는 현재 우주의 어디를 날고 있는지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다.

소행성 충돌이 유발한 가장 대표적인 재앙은 6600만년 전에 일어난 것으로 과학계는 본다. 지금의 남미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떨어진 소행성이다. 당시 소행성의 지름은 10㎞였다. 에베레스트산(8848m)보다 컸다.

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자 하늘에선 불덩어리가 쉴 새 없이 떨어져 땅은 그야말로 불지옥이 됐다. 특히 충돌이 만든 기체와 먼지가 대기로 떠올라 햇빛을 가렸다. 식물의 광합성이 어려워지면서 생태계는 무너졌다. 이때 지구에 있던 생명체의 75%가 사라졌다. 여기엔 공룡도 포함됐다.

이번에 충돌 실험 대상이 된 소행성 ‘디모르포스’와 비슷한 크기인 지름 140m 수준의 소행성도 결코 만만하게 볼 수 없다. 지상에 떨어지면 대도시 하나를 초토화할 수 있다. 충돌 확률도 높다. 2만년에 한 번 지구와 맞닥뜨린다. 1억~2억년에 한 번 충돌하는 지름 10㎞짜리 소행성보다 훨씬 자주 찾아온다.

문제는 이렇게 작은 소행성은 어디에서, 어떤 궤도로 날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어렵다는 점이다.

지름 140m 이상의 지구 근접 소행성은 2만500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실제 발견된 건 전체의 40%뿐, 1만5000여개는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관측 기술의 한계 때문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소행성만 보면 향후 100년 안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은 없지만, 늘 하늘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뜻이다.

사실 소행성은 이미 현실에서 위협이 되고 있다.

2013년 2월15일(현지시간) 러시아 첼랴빈스크 하늘에서 지름 20m짜리 소행성이 폭발하며 강한 충격파를 만들었다. 다수의 건물이 파손됐고, 1200여명이 다쳤다.

디모르포스에 대한 충돌 실험을 지상에서 관측하는 연구팀 가운데에는 한국 과학자들도 있다. 보현산천문대 등이 활용된다. 관측팀에 소속된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은 “NASA는 향후 디모르포스보다 더 큰 소행성에 대한 충돌 실험도 계획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