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광주교도소 5·18 암매장 유골, 전남대 시위대 가능성 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서쪽 담장에 있는 오수처리장 모습.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자들이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던 장소다.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5·18조사위)가 옛 광주교도소 터에서 확인한 5·18 당시 행방불명된 광주시민 유골은 전남대학교 인근에서 계엄군에게 붙잡힌 시위대였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5·18조사위는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유골 더미에서 확인한 행방불명자 ㄱ(5·18 당시 23살)씨의 추가 유골을 찾는 한편 5·18 당시 행적과 사망 경위를 밝히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5·18조사위는 ㄱ씨 유골이 다른 260여구의 유골과 섞여 있었던 점으로 미뤄 광주교도소 내에서 사망한 뒤 발견된 장소로 옮겨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ㄱ씨는 교도소 서쪽 담장 바깥에 묻혀 있다가 1986년 이곳에 오수처리장이 설치되면서 교도소 북쪽에 있는 밭으로 옮겨졌고 밭 자리에 1998년 경비교도대 건물이 들어서자 공사노동자 등에 의해 바로 옆 공동묘지로 이장됐을 것으로 보인다. ㄱ씨는 전남대 인근에서 다친 채 광주교도소로 이송된 후 사망했거나 시위대를 감금해놓았던 교도소 창고에서 가혹행위를 당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5·18 당시 교도관이었던 홍인표씨는 “경비교도대 자리는 산등성이에 있고 밭이 많아 은밀하게 땅을 파기에 알맞은 장소”라며 “나도 군인들이 주검 3구를 묻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한겨레

옛 광주교도소에서 최근 확인된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됐던 광주시민 주검의 이동 경로. 5·18연구자들은 교도소 내 오수처리장, 경비교도대 건물이 들어서며 곳곳에 묻혀 있던 유골들이 뒤섞여 매장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공수여단 11대대 소속 지역대장 신순용(69) 전 소령은 2017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15대대 부대원들이 광주~담양 호남고속도로와 인접한 교도소 남쪽 담장 인근에 구덩이를 파고 시신 2~3구씩 12~15구를 묻었다”며 “북쪽 담장 인근에도 10구를 묻는 것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바 있다.

5·18 당시 3공수여단 병장이었던 ㄴ(64)씨도 2018년 <한겨레> 인터뷰에서 “1980년 5월21일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로 주둔지를 옮겼다”며 “차량 6~7대를 동원해 1대당 시위대 30~40명씩을 태웠는데 교도소에 도착하니 9명이 죽어 있었다”고 증언했다. ㄴ씨는 “주검을 가마니로 싸 밤 8~9시 무렵 교도소 안 담장과 바깥 담장 사이(오수처리장 자리)의 밭에 묻었다”고 했다.

3공수여단 11대대 소령이었던 김아무개씨는 1995년 검찰 조사에서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3명을 포함해 가마니에 쌓여 있는 주검 12구를 1980년 5월23일 교도소 북쪽 담장 3m 지점에 묻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1980년 5월31일 계엄사령부의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과 505보안부대 기록에는 각각 광주교도소 관련 민간인 사망자를 28명과 27명으로 적시했다. 5·18연구자들은 5·18 직후 광주교도소에서 11구가 발굴됐다는 점을 들어 최소 16∼17명이 현재까지 암매장 상태로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5·18조사위는 광주에 투입됐던 3공수여단 소속 전직 군인 77명을 조사한 결과 광주교도소 암매장 추정지역은 10곳이고 최소 40여명이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ㄱ씨가 발견된 공동묘지 자리는 교도소 무연고 사형수를 안장했던 곳으로, 유력한 암매장 의심지역이었다. 2015년 광주교도소가 삼각동 터로 이전하자 5·18기념재단은 2년 뒤 법무부의 허가를 얻어 담장 인근에서 암매장조사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공동묘지 관련 제보도 접수했으나 터가 넓고 접근 권한이 없어 발길을 돌려야 했다.

한겨레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의 배치도.5·18기념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시 발굴조사를 추진했던 김양래 5·18기념재단 이사는 “제보 현장을 둘러봤으나 수풀이 우거져 정확한 매장 지점을 찾지 못했다”며 “유골이 한 데 있었다면 공사노동자들이 최소한의 예우를 갖춰 무연고자 주검을 안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수만 전 5·18유족회 회장도 “광주교도소는 경비교도대 건물과 테니스장, 오수처리장 등이 생기면서 지형이 많이 바뀌었지만 공동묘지는 민간인 접근이 어려워 현장이 보존됐을 것”이라며 “교도소에서 추정되는 암매장 장소는 최소 5곳인데 한곳에서라도 희생자를 찾을 수 있어 다행이다”고 말했다.

5·18조사위는 신중하게 나머지 유골도 분석하겠다는 계획이다. 옛 광주교도소에서 나온 유골 242구 중 160구에서 유전자 검체를 채취할 수 있었지만 뼛조각이 1800여개로 나뉘어 ㄱ씨의 또 다른 유골이나 다른 희생자 유골을 찾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송선태 5·18조사위 위원장은 “그동안 신군부 책임자들이 암매장은 없었다는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났다”며 “암매장 조사는 이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한 구라도 더 찾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가을 하면 발라드, 발라드 하면 바로 여기!
▶▶<한겨레> 후원하시면 콘서트 티켓을 드려요!▶▶<한겨레> 국장단이 직접 뉴스를 풀어 드립니다, H:730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