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1 (일)

서울, 병원까지 3분 도서관 14분…강원도는 37분·122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간 삶의 질 격차' 문화·보건·보육 분야

국토연구원 "균형발전정책 고도화 필요"

아시아경제

찜통더위가 이어진 4일 서울 강남구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도서관에서 시민들이 책을 읽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과 병원, 보육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지역별로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토연구원은 '지역 간 삶의 질 격차'를 주제로 지역 간 문화·보건·보육 분야 현황을 담은 '균형발전 모니터링&이슈 브리프' 제10호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먼저 문화시설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도서관에 대한 접근성은 특별시·광역시에서 높게, 도 지역에서 낮게 나타나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도서관 접근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도보 14분)로 2위 부산(32분)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강원(도보 122분), 경북(113분), 전남(100분)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경제

이하 자료:국토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 문화기반시설 중 수도권에 있는 시설 비중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나, 최근(2014~2021년) 증가율이 높은 미술관, 도서관은 수도권 비중이 평균보다 높았다.

보건 분야에서는 지역 간 의료 접근성의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울이 압도적으로 의료 접근성이 높았으며, 경남, 강원, 경북 등 농촌지역은 의료 접근성이 매우 낮았다.

시·도별 의료 접근성 분석 결과 서울(3분), 광주(7분), 부산·대전(각 8분)의 경우 차량으로 10분 안에 종합병원에 도착할 수 있으나, 경남(38분), 강원(37분), 경북(32분) 등은 30분 이상 운전해야 도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의 경우 대도시, 중소도시에 비해 산부인과, 응급실 등의 의료서비스에 신속하게 접근하기 어려운 인구 비율이 매우 높아 지역유형별 의료 접근성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사망률의 지역 간 격차 극심했다. 평균 응급실 도착 이전 사망 환자 수는 25~30명 수준이나, 시·도별 편차가 60~70명으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충북(2020년 80명)이 2016년을 제외하고는 응급실 도착 이전 사망 환자 수가 가장 많고, 강원, 충남 등 지역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세종(2020년 3명)은 꾸준히 적은 수를 유지했다.

보육 격차 면에서도 지역별 격차가 드러났다.

국공립 보육기관은 증가하고 있으나 수도권의 증가율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국공립 보육기관 연평균 증가율은 6.9%로 꾸준한 증가세이며, 수도권(8.8%)이 비수도권(5.9%)보다 높은 폭으로 증가했다.

국공립 보육기관 접근성은 서울이 가장 높고, 강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도별 보육기관 접근성은 서울(16분), 부산(28분), 광주(29분)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강원(89분), 경북(75분), 충북(62분) 등 순으로 낮게 나타나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대도시의 경우 기준거리(0.5, 1.0, 1.5km)가 커질수록 대부분의 인구 비율을 서비스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강원의 서비스 비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저조한 수치를 보였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구, 소득, 고용 외에도 문화·보건·보육 등 삶의 질과 직결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간 격차가 상당하므로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발전정책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구원은 "수요가 높은 문화기반시설 수(도서관·미술관) 및 문화행사 관련 지표(전문예술법인·단체, 공연 건수, 매출액 등)의 수도권 쏠림이 뚜렷하므로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간 의료 접근성 격차가 매우 뚜렷하며, 이와 관련된 응급환자 사망률의 격차는 심각한 수준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처방이 시급하다"고 했다.

끝으로 연구원은 "영유아 보육기관의 접근성은 여전히 서울이 압도적 우위를 보인다"면서 "지방의 보육시설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균형발전정책 모색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