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진실화해위 "37곳서 유해 발굴 가능…1800구 이상 매장 추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간인 희생 사건 관련 유해 매장실태조사…선감학원도 포함

연합뉴스

유해발굴 조사용역 보고서
[2기 진실화해위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민간인 희생과 관련한 유해 매장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381곳 중 37곳이 유해 발굴 가능지로 분류됐다고 18일 밝혔다.

진실화해위가 부경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유해 매장 추정지 실태조사 및 유해 발굴 중장기 로드맵 수립' 용역을 진행한 결과 37곳이 발굴 가능지로 확인됐고, 매장추정 유해는 1천800구 이상으로 조사됐다. 잠재적 발굴 가능지로 조사된 곳도 45곳이었다.

발굴 가능지 37곳 중 36곳은 한국전쟁 시기 민간인 집단희생 및 적대세력에 의한 사건과 관련된 장소였다. 지역별로 수도권·강원권 5곳, 충청권 15곳, 경상권 6곳, 전라권 10곳이었다.

나머지 한 곳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안산시 선감도에 설립된 아동집단수용시설 선감학원에서 벌어진 인권침해 사건과 관련한 장소였다.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발굴이 이뤄지면 국내 인권침해 사건 중 첫 유해 발굴 사례가 된다. 선감학원은 2018년 경기도의 유해 발굴 사전 조사 용역에서 150구의 유해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진실화해위는 발굴 가능지 37곳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부터 단계적인 유해 발굴 작업에 착수하기로 했다. 잠재적 발굴 가능지로 조사된 곳에 대해서도 현안을 해결하며 중장기 추진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유해 발굴 사업방식을 다각화해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유해 발굴 사업이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위령 사업 범주로 안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2기 진실화해위가 종료되더라도 유해 발굴 및 안장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고, 전담 부서를 정부 주도로 신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1기 진실화해위는 2007∼2010년 경북 경산 코발트 광산 등 전국 10곳에서 13차례에 걸쳐 1천617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chic@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