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꽃과 긴장/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는 긴장을 기르나 보다
아무도 가지 않은
어느 숲속의
꽃들처럼.

상처는 저마다 완전하여
눈에 띌까 말까 한
조그만 꽃에 울을 만들고
아파한다.

아픔은 저 꽃과도 같아
이 꽃과도 같고
저 꽃과도 같고
이 꽃과도 같아

―로버트 크릴리 ‘꽃’

꽃의 긴장을 생각해 본 적 있는가. 꽃과 긴장은 꽃과 간장만큼이나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꽃과 상처, 꽃과 아픔도 마찬가지. 꽃은 주로 밝고 환하고 부드럽고 고운 것들과 연결된다.

그런데 시인은 꽃의 목소리로 긴장을 말한다. 그것도 사람들의 탄성을 맞이하는 정원의 예쁜 꽃이 아니라 아무도 가지 않은 어느 숲속의 꽃들을.

숲속의 꽃들은 무얼 할까. 김소월은 시 ‘산유화’에서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라고 했는데, 크릴리의 꽃은 처음부터 혼자가 아니라 다수의 꽃들이다. 그 꽃들이 각자의 긴장과 상처 속에서 완벽한 단독자의 시간을 견디는 것이다. 한 송이씩 꽃이 피어나는 과정을 시인은 긴장을 품으며 시간을 견디는 힘, 어떤 에너지와 기다림으로 보았다. 그 기다림은 누가 와서 바라봐 줄지 가늠할 수 없는, 약속도, 기약도 없는 기다림이다.

우리는 흔히 타인의 상처를 이해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기의 상처는 자기만 알 뿐 타인의 상처를 다 헤아릴 수는 없다. 안다고 해도 모르기 일쑤고 자기 상처조차 제대로 모를 때가 많다. 한참 지나서야 ‘아, 그때 그랬지’ 한다. 이 시에서 상처의 영어 원문은 ‘wound’인데 작은 상처가 아니라 칼이나 어떤 외적인 힘에 의해 피부가 벌어져 생기는 제법 깊은 상처를 말한다. 물론 정신적 상처도 해당이 된다.

꽃을 두고 긴장과 상처와 아픔을 말하는 시인. 저마다의 상처를 속으로 품어 기르다가 꽃으로 피어나는 거라고 말하는 시인은 시의 말미에 꽃을 피우는 아픔의 단독성을 보편적인 다수의 경험으로 대폭 확장한다. 아픔은 이 꽃과도 같고 저 꽃과도 같다고 말이다. 꽃의 영광은 상처를 안으로 품어 길러 내며 피어나지만, 동시에 그 경험이 오롯이 혼자만의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시의 마지막은 마치 ‘혼자만 아파하지 말고 주위를 한번 돌아봐’라고 말하는 것 같다.

꽃의 아름다움 속에 깃든 긴장과 상처와 아픔을 보는 시선, 저마다의 고립에서 보편과 연대로 나아가는 이 시선은 우리에게도 말한다. 너는 혼자가 아니야. 네 아픔과 네 상처도 혼자가 아니야.

보스턴에 있는 시인의 묘비에는 “이 시간의 / 빛을 / 바라 / 봐”라는 구절이 새겨져 있다. 꽃들의 긴장이 상처와 아픔에서 연대로 나아가는 과정이 이 시간의 빛일까, 가만히 물어보는 여름이 지나고 있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