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인 14일 오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 열린 제10차 세계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나비문화제에서 이옥선 할머니의 영상이 재생되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1991년 고 김학순(1924∼1997)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 날로, 2018년 국가 기념일로 지정됐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10주년인 14일 서울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공개 증언과 이들의 용기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전국여성위원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31년 전이나 지금이나 피해 할머니들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배상”이라고 강조했다.
1991년 8월 14일 위안부 피해자인 고(故) 김학순 할머니는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했다. 이후 2012년 12월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이날을 피해자들의 용기를 기리기 위한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로 정했다.
정의기억연대는 이날 서울 청계천 광교사거리에서 제10차 기림일 나비문화제를 열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31년 전 오늘 김학순 님은 증거가 없다고 책임을 부인하는 가해자 앞에 살아 있는 증거가 되어 당당히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며 “김학순 님은 이후 일본의 책임을 묻는 최초의 당사자 법적 소송을 이끌었고 역사적 진실을 지우고 피해자의 입을 봉하려는 시도에 맞서 활발한 증언 활동을 펼쳤다”고 말했다.
이어 “그의 목소리는 다른 김학순들을 일깨우고 전 세계 시민들의 공감과 공명을 불러일으키며 변화를 위한 연대로 연결됐다”며 “그의 용기 있는 실천은 여성인권사의 새 장을 열어젖히고 피해자의 존엄과 명예 회복을 위한 길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또 “역사적 정의는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며 “일본 정부는 진실을 마주하기는커녕 여전히 조직적 범죄사실을 부인하고 전쟁책임을 회피하며 피해자를 모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는 8일 영상 인사로 “학생 여러분이 올바른 역사를 공부하고, 양국 간에 바른 역사를 알고 해결해서 친히 지낼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영상 메시지로 “일본 정부가 사죄하기 전에는 용서하지 말고 끝까지 사죄할 때까지 말하라”고 전했다.
아울러, 민주당 여성위원회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전범국 일본의 반성과 책임을 촉구한다”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이들은 “정부에 등록한 피해자는 총 240명이나, 이제는 11명 만이 생존해 계신다”며 “해결을 더는 지체할 수 없음에도 윤석열 정부 들어 상황은 오히려 악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7월 박진 외교부 장관은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존중하겠다고 밝혀 굴욕외교라고 비판받았다”며 “또한 위안부 피해자 지원과 여성 인권 정책은 윤석열 대통령의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성위는 “국내 극우세력의 백래시 또한 피해자의 존엄과 명예 회복을 가로막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는 국제사회의 규정대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반인도적 범죄임을 천명하고 피해자의 편에 서서 문제 해결에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전범국 일본의 반성과 책임을 촉구할 뿐만 아니라 미얀마, 우크라이나 등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과 무력행위에 강력하게 반대한다”며 “또한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치고 온전히 기억하겠다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 일본의 거짓 주장과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과 관련해 별도의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이투데이/이꽃들 기자 (flowersle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