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미래기술25]말로 프로그램 짜는 시대 올까…'노코드 AI' 전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엔지니어 아니어도 프로그램 개발"

개발 속도 이점…코카콜라, 일주일만에 재고 데이터 저장소 구축

국내외 IT기업들 플랫폼 개발 박차

MS, 노코드 도구에 초거대 AI 'GPT-3' 적용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통신업체 T모바일에선 현업이 프로모션 관리, 매장 폐쇄 프로세스 자동화, 자가검진 앱 등을 직접 개발했습니다. 이들은 엔지니어가 아닙니다. 스웨덴 패션 브랜드 H&M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회사 직원들은 유연한 근무 시간을 관리할 모바일 앱(FLEXI)을 만들어 회사 해커톤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런 일들을 가능하게 만든 건 이른바 ‘노코드 플랫폼’입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코드를 한 줄도 짜지 않고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노코드는 포토샵처럼 마우스 클릭 등을 활용해 누구나 직관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이제는 (엔지니어가 아닌)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와 아이디어만 있으면 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국내외 기업들은 이미 노코드 플랫폼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MS는 지난해 자사 노코드 플랫폼 ‘파워앱스’에 인간처럼 말하는 초거대 AI ‘GPT-3’를 처음 적용했습니다. 사람들이 말하고 쓰는 일상어(자연어)로도 코딩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적용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e커머스 앱을 개발하는 사람이 “키즈(Kids)로 시작하는 이름의 상품을 찾아줘”라고 말하면, ‘Filter(‘BC Orders’ Left(‘Product Name’,4)=”Kids”’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명령어를 변환해 전달하는 식입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도 지난 2020년 6월 노코드 플랫폼 ‘허니코드’를 처음 선보인 후 베타 버전을 운영 중입니다.

국내에선 네이버(035420)가 지난 2월 노코드 AI 플랫폼 ‘클로바 스튜디오’를 내놨고, LG CNS도 ‘데브온 NCD’를 무료로 공개한 바 있습니다. 지난 2월 일부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클로바 스튜디오는 100여 개 스타트업이 사용 중입니다. LG CNS가 지난해 홈페이지에 데브온 NCD를 무료 공개한 이후 현재까지 다운로드 수는 6000여 건이 넘었습니다.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 역시 자사의 올인원 AI 솔루션 ‘AI팩’에 노코드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노코드 플랫폼의 가장 큰 이점은 ‘속도’입니다. 사용자환경(UI) 등 모든 것을 개별적으로 코딩할 필요가 없으니 앱 개발이 빨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코카콜라는 판매·재고 데이터 저장소(리포지토리)를 단 1주일만에 만들었습니다. 구글 클라우드가 자사 노코드 앱 플랫폼인 ‘앱시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의 32%가 개발 속도를 가장 큰 이점으로 꼽기도 했고요.

LG CNS 관계자도 “(데브온 NCD는) 마우스로 컴퓨터 바탕화면 속 아이콘을 옮기듯 개발자가 각종 기능을 원하는 위치에 끌어다 놓으면 된다”며 “기존 방식대로라면 코딩을 마친 뒤 개발자가 프로그램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했지만, (노코드 플랫폼이) 이 과정을 대신 수행하는 덕분에 개발자는 프로그램의 논리성을 완성하는 데 집중하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노코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2020년 132억달러(약 17조원)이던 노코드 플랫폼 시장은 2025년 455억달러(약 59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입니다. 개발자 인력난의 대안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복잡한 프로그램 작성 등 아직은 초기여서 한계도 있지만, 노코드가 보편화된다면 개발자들이 하는 일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노코드로 작성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개발자의 니즈가 높아질 것”이라며 “또 노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선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이제껏 별도의 직군으로 구별됐던 서비스 기획 등의 업무가 개발자의 역할로 점차 편입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