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피크 찍어" vs "아직 일러"…美 인플레 정점 논쟁 격화(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7월 CPI 물가 전년비 8.5% 상승

1980년대 초 수준이지만, 예상 하회

유가 하락 영향…일각서 물가 정점론

국채금리 돌연 급락…뉴욕증시 강세

"연준 9월 FOMC 빅스텝 선회할 수도"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정점을 찍었을까. 올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을 밑도는 8.5%로 나타나면서, 정점론 논쟁이 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1980년대 초 수준이라는 점에서 물가 압력은 상당하다는 지적 역시 많다. 당분간 물가 지표에 대한 주목도는 더 높아질 전망이다.

이데일리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 7월 물가 상승률 예상 하회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8.5%를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8.7%)를 밑돌았다. 전월인 6월(9.1%)과 비교해 0.6%포인트 큰 폭 완화했다. 1980년대 초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계속 이어졌다가, 한풀 꺾인 것이다.

CPI 상승률은 지난해 1월과 2월만 해도 각각 1.4%, 1.7%로 연방준비제도(Fed) 목표치(2.0%)를 밑돌았다. 그러나 갑자기 물가가 폭등하더니 올해 들어 7.5%(1월)→7.9%(2월)→8.5%(3월)→8.3%(4월)→8.6%(5월)→9.1%(6월)로 급기야 9%대를 넘어섰다. 7월 CPI 지수는 6월 피크에서는 약간 내려온 것이다.

전월과 비교한 상승률은 0.0%를 기록했다. CPI 지수가 변동이 없었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물가 전반이 내려갔다. 에너지 가격은 전월 대비 4.6% 하락했다. 그 중 휘발유의 경우 7.7% 떨어졌다. 6월만 해도 10% 안팎 폭등했다가 크게 안정화했다. 중고차(-0.4%), 교통서비스(-0.5%), 의류(-0.1%) 역시 하락했다. 다만 식료품 가격(1.1%)은 폭등세를 이어갔다. CPI의 3분의1을 차지하는 주거비는 0.5% 상승하며 오름세를 지속했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5.9% 뛰었다. 시장 예상치(6.1%)를 하회했다. 전월과 비교한 수치는 0.3%를 보이며 전망치(0.5%)를 밑돌았다.

월가 일부에서는 물가가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8%대 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0%를 훌쩍 넘기는 하지만, 현재 수준에서 물가가 안정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준, 9월 빅스텝 선회할 수도”

이에 따라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례회의에서 75bp(1bp=0.01%포인트)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밟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시장은 3회 연속 자이언트스텝을 기정사실화 했는데, 그 대신 50bp 인상 ‘빅스텝’으로 선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시장은 곧바로 반응하고 있다. 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3.078%까지 떨어지고 있다. 뉴욕 증시는 급등 중이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오전 9시38분 현재 1.32% 오르고 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5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9% 각각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정점론을 거론하기는 이르다는 진단도 많다. 1년 전과 비교한 CPI 상승률 자체가 너무 높기 때문이다. 8.5% 수준이면 여전히 1980년대 초에 견줄 만하다. 휘발유(44.9%), 식료품(10.9%), 신차(10.4%), 교통서비스(9.4%), 주거비(5.7%) 등은 전년 동월 대비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지정학 위기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유가가 다시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다. 7월 CPI가 예상을 밑돈 것은 유가 영향이 컸다. 아울러 미국 내 임금 인플레이션은 계속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