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내비게이션? 월 사용료 내세요"...車업계, 구독제 도입 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한여름 '찜통 자동차'에 원격 시동을 걸어 에어컨을 미리 틀고 싶다면 월 2만4000원, 자동차 상향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려면 월 1만1000원 …."

자동차 기능도 구독하는 시대가 머지 않았다. 최근 BMW의 '구독제 도입 시도'는 무산됐지만, 업계는 여전히 구독제 카드를 만지작 거리는 분위기다. 일부 국가에선 이미 구독제가 자리잡은 가운데, 국내서도 같은 서비스를 놓고 여론을 의식하는 '눈치전'이 감지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xEV 트렌드 코리아 2022에서 관람객들이 전시된 전기차 충전기를 둘러보고 있다. 이번 박람회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인 현대차와 기아, 볼보 등을 비롯해 EV 모빌리티, 충전기 및 배터리 업체까지 총 50개 사가 참가해 300 부스 규모로 운영된다. 2022.03.17 pangbin@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독 서비스? S/W로 하드웨어 원격 조정…"돈 내면 열어준다"

자동차 구독 모델은 차량의 특정 기능에 매달 또는 연간 사용료를 부과하는 식이다. 제조사는 무선 업데이트(OTA·Over-the-Air) 기술로써 자동차 기능을 원격 관리한다. 사용자가 요금을 내야 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열어주는 것이다.

테슬라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선두 주자다. 벤츠 플래그십 전기 세단 EQS는 뒷바퀴 회전각을 최대 10도까지 쓰도록 설계됐지만, 기본 최대 사용각은 4.5도다. 회전각을 더 쓰려면 사용료를 내야한다. 벤츠는 해당 서비스를 독일 등 유럽 일부 국가에서 운영 중이다. 구독료는 연간 489유로(한화 약 65만 원).

벤츠는 국내서는 스마트폰과 차량을 원격으로 연결하는 '리모트 패키지'를 연간 6만4000원, 맛집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한 내비게이션 관련 패키지를 연간 16만 원 등에 제공 중이다. 벤츠는 전 세계적으로 구독제 서비스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테슬라도 월 사용료를 내면 완전자율주행(FSD) 추가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는 구독 서비스를 출시했다. 연간 199달러(한화 26만 원)를 내면 차선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등 자율주행기능을 레벨2 수준으로 확대 사용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블루링크' 서비스를 통해 차량 원격제어, 음악 스트리밍 등을 제공 중이고, 토요타도 자동차 원격제어 기능에 사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GM은 내년 중 반자율주행시스템 '울트라 크루즈'를 구독 서비스로 출시할 예정이다. 캐딜락과 쉐보레 등에 탑재될 해당 기능의 월 구독료는 월 25달러(약 3만5000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볼보는 현재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시스템 '라이드 파일럿'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단계에 있다. 볼보는 안정성을 검증한 뒤 차세대 순수 전기 SUV부터 이를 구독 서비스로 출시할 계획이다.

뉴스핌

[사진=뉴스핌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車 "매출 안정성·생산 효율 증대"…소비자들은 '냉랭'

제조사들이 앞다퉈 구독제 출시에 뛰어든 데는 복합적인 이유가 자리하고 있다.

무엇보다 구독제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기존 제조업에 없던 안정적인 월·연간 매출을 낼 수 있는 데다, 차량 생산과정에서 혼류 생산을 줄여 자동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추가 프로모션 등을 통해 추가 사업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것도 구독제의 장점으로 꼽힌다. 가격 정책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 4월 발간한 관련 보고서에서 "제조와 판매에 더해 구독 기반 서비스는 상당한 규모의 시장을 창출할 잠재력이 있다"고 봤다. 향후 자율주행 기술 등의 제도적 기반이 안정되면 전통적인 제조업과 비교해 시장 수익성이 더 클 것이란 분석이다. 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구독제 채택률을 1%라고 가정해도 이와 관련한 연간 시장규모 추정치는 연간 390억 달러(약 51조원)다. 서비스매출 영업이익률를 10%로 가정하면, 이때 관련 사업부문 영업익은 대략 40억 달러(5조2000억원)다.

다만 소비자들의 구독제 반감이 만만치 않은 만큼 이를 극복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다.

최근 BMW는 국내서 온열좌석 등 일부 편의기능을 구독 서비스로 출시하려다 논란에 휩싸였다. 각 기능에 책정한 구독료 설명문이 홈페이지에 공개됐는데, 시장 거부감이 크자 BMW는 "해당 화면이 실수로 홈페이지에 노출됐을 뿐, 실제 국내 도입 계획은 없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에 비유하자면 취득세와 보유세를 따로 내라는 격인데, 국내 정서로는 납득하기 어려운 서비스"라며 "특히 고가의 수입차 제조사가 완성차에 구독료까지 매기니 '한국 소비자들을 호구로 본다'는 반발심을 건드린 것"이라고 봤다.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같은 서비스를 일률적으로 도입하지 않는 이상 소비자들의 반감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벤츠도 비슷한 사유로 중국 시장에서 뭇매를 맞고 있다. 벤츠는 유럽에서 시범 운영 중인 EQS 후륜조향장치의 중국 출시를 앞두고 있는데, 구독료는 연간 5000위안(약 96만 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에 비하면 40% 이상 비싼 가격인 데다, 같은 기능이 미국에선 무료 제공되고 있어 논란에 휩싸였다.

자동차 전문 외신 '더드라이브'는 "중국에서 전기차 배터리 구독제가 정착한 사례에서 보듯, 중국 소비자들은 구독제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다. 그렇지만 중국 소비자들에게만 유난히 높은 구독료를 책정한다면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냐"고 꼬집었다.

chojw@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