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전국민 4차접종 논의중 … 기존 백신, BA.5 대응효과는 떨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올 여름 이른 재유행 가능성

국민 피로감·돌파감염 등 변수 … BA.5 한국도 조만간 우세종화

거리두기 강화는 쉽지 않아 … 전문가들 "의료체계 구축 시급"

아시아경제

김포∼하네다 항공 노선 운항이 재개된 29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이용객들이 출국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증가함에 따라 올여름 당초 예상보다 일찍 재유행이 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거리두기 해제 등 방역조치 완화로 해외여행을 비롯한 휴가철 이동량이 급증한 데다 무더위 속 밀폐된 공간에서 에어컨 사용이 증가한 반면, 백신 접종 및 감염으로 얻은 면역력은 점차 감소해 재감염 위험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아직 여름철 재유행이 시작됐다고 판단하긴 어렵다면서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반인 4차 접종 시작할까
당국은 전반적인 면역력 감소에 대응해 그동안 60세 이상 고위험군만을 대상으로 했던 4차 백신 접종을 전체 국민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그간 누적된 백신 접종에 따른 국민들의 피로감과 불신이 크고, 앞서 3차 접종자 중 돌파감염된 사례가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전 국민 4차접종을 강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현재 국내뿐 아니라 유럽과 미국 등에서 유행하고 있는 오미크론 세부 변이 BA.5에 강력하게 대응할 백신은 없다. 기존 코로나19 백신은 변이가 일어나기 전 바이러스에 대응해 만들어져 변이에 대한 효과가 떨어진다. 제약사들이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을 만들기 시작했지만, BA.5에 대한 효과는 BA.1에 비해 낮았다. 화이자가 지난달 발표한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의 임상 결과, 기존 백신보다 오미크론 변이에 10배 정도 높은 중화항체 역가가 나타났지만 BA.4와 BA.5에는 면역 반응이 3배 정도 낮았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해외유입 사례에서 BA.5의 검출률은 49.2%라서 이미 우세종화됐다고 볼 수 있다"면서 "국내 확진자에서의 BA.5의 검출률도 지난주 대비 이번 주 크게 높아졌기 때문에 다음 주가 되면 많이 증가하고 조만간 우세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는 "BA.1용 오미크론 개량 백신이 BA.5에 효과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오미크론에 감염 예방 효과가 거의 없는 기존 백신보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며 "개량 백신을 도입해 고령층, 고위험층에 대한 재접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시아경제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지고 있는 10일 서울 중구 명동을 찾은 시민 및 관광객들이 거리를 거닐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거리두기 강화 여의치 않아
국내외 경제가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일상회복 기조를 이어나가면서 유행을 최소화할 방역 묘책을 찾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새정부 출범 이후 방역당국은 격리의무 해제 여부를 판단할 기준은 제시했지만 재유행이 발생할 경우 방역 강화 정책을 판단할 기준과 절차는 만들지 못했다. 지난주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가 구성돼 당초 오는 17일까지 연장된 격리의무 해제 여부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지만 최근 확진자 증가 추세로 볼 때 격리해제 결정이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확진자나 위증증 환자 증가에 대비해 의료 체계를 정비하는 것도 과제다. 오미크론 유행 당시 중증병상은 한때 2825개, 전체 코로나 전담병상은 2만2300여개까지 확대됐지만 정부는 지난 4월 말 이후 일상회복을 추진하면서 병상을 지속적으로 줄여 온 상태다. 현재는 중증병상 1469개를 포함해 총 5717개의 코로나19 치료 병상만이 남았다.

의료계에선 재유행에 대비해 응급의료 대응 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원영 대한응급의학회 정책이사(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 때 확진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이 부족하고 확진자의 전원·입원과 일반 환자들의 입원이 모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며 "지역별 확진자 수나 인구 수에 맞는 적정 응급실 격리병상 수를 파악하고, 거점 응급실이나 당직 응급실을 선정해 권역 내 코로나 준중증 또는 중증 환자 응급 진료를 맡게 하자"고 제안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