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10년간 5대그룹 자산 쏠림 심화…박근혜 정부 때 특히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핵심요약
전체 30대 그룹에서 5대 그룹이 차지하는 자산 비중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기 직전인 2012년 51.7%에서 정부 말기인 2016년 59.4%로 7.7%포인트(p) 상승했다. 이 비중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0.5%에서 지난해 59.7%로 소폭 줄었다.
노컷뉴스

리더스인덱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리더스인덱스 제공.
지난 10년간 상위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롯데)의 자산편중 현상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2012~2021년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자료를 기초로 상위 30대 그룹들의 자산(공정자산)과 매출액, 고용인원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5대 그룹의 공정자산은 2012년 957조5090억원에서 지난해 1322조8230억원으로 38.2% 증가했다. 공정자산이란 대기업집단 일반 계열사의 자산총액과 금융 계열사의 자본총액을 더한 것을 말한다.

같은 기간 30대 그룹의 공정자산은 1852조9900억원에서 2217조4천억원으로 19.7% 증가했다.

전체 30대 그룹에서 5대 그룹이 차지하는 자산 비중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기 직전인 2012년 51.7%에서 정부 말기인 2016년 59.4%로 7.7%포인트(p) 상승했다. 이 비중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0.5%에서 지난해 59.7%로 소폭 줄었다.

상위 5대 그룹과 하위 25대 그룹으로 나눠 공정자산 증감 추이를 보면 하위 25개 그룹의 자산은 2012년 895조4810억원에서 2016년 666조8360억원으로 25.5%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5대 그룹의 자산은 957조5090억원에서 975조6860억원으로 1.9% 늘었다.

이후 상위 5대 그룹의 자산은 2017년 1051조380억원에서 지난해 1322조8천230억원으로 25.8%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위 25개 그룹의 자산도 685조470억원에서 894조5770억원으로 30.5%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 동안 하위그룹의 자산 증가율이 상위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셈이다.

2012년 이후 10년간 자산 증가액이 가장 많은 그룹은 삼성그룹이었다. 2012년 306조920억원에서 지난해 483조9190억원으로 증가액이 177조8270억원(58.1%)에 달했다.

이어 SK그룹 151조3480억원(140조6210억→291조9690억원), 현대차그룹 91조1510억원(166조6940억→257조8450억원), LG그룹 65조1410억원(102조3600억→167조5010억원), 롯데그룹 34조660억원(87조5230억→121조5890억원) 등의 순이었다.

자산 증가율은 신세계그룹이 166.8%(증가액 38조1740억원)로 1위였고 이어 미래에셋그룹 134.4%(11조5990억원), 한화그룹 123.6%(44조4440억원), 교보생명보험그룹 119.5%(7조5210억원) 등의 순이었다.

5대 그룹의 편중 현상은 매출 부분에서 심화됐다. 30대 그룹의 매출액은 2012년 1508조8300억원에서 지난해 1592조5590억원으로 5.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상위 5대 그룹 매출액은 731조1360억원에서 971조5930억원으로 32.9% 늘었다. 이 기간 하위 25개 그룹의 매출액은 777조6940억원에서 620조9660억원으로 오히려 20.2% 감소했다.

30대 그룹의 고용 인원은 2012년 129만7766명에서 지난해 138만8681명으로 7.0% 증가했다. 박근혜 정부 때(2012~2016년)는 0.4%, 문재인 정부 시기(2017~2021년)에는 4.8% 각각 고용 인원이 늘었다.

상위 5대 그룹이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고용 인원 비중은 2012년 41.9%에서 지난해 57.8%로 15.9%p 상승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