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매매가 턱밑까지 오른 오피스텔 전세가… 전세가율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도권 오피스텔 전세가율이 치솟고 있다. 지난달 서울, 인천, 경기 오피스텔의 전세가율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집계됐다. 아파트 임대료를 버티지 못한 사람들이 오피스텔로 옮겨가면서 역세권 지역을 중심으로 전세가가 오른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오피스텔 전세가율이 높아지면서 ‘깡통전세’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선비즈

서울 서대문구 이대역 푸르지오시티 오피스텔 전경 / 최온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84.0%로 전달(83.9%) 대비 0.1%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1년1월 이후 역대 최고치다. 작년 10월 전달 대비 소폭 하락했던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같은 해 12월부터 다시 높아지기 시작했다.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83.2%로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마포·은평·서대문이 있는 서울 서북권 오피스텔 전세가율이 86.2%로 가장 높았다. 구로·금천·영등포가 있는 서남권 전세가율도 85.8%로 나타났다. 이외 동남권 82.2%, 동북권 80.5%, 도심권 74.7% 순으로 높았다.

서울 영등포구 신도림동 ‘신도림1차 푸르지오’ 오피스텔 전용면적 53.48㎡은 최근 전세가가 매매가를 따라잡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이 타입의 매매 거래는 지난 1월 이뤄진 5억8000만원인데, 지난 달 14일 5억5000만원에 전세로 계약된 것이다. 단순히 계산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율)은 91.38%에 달한다.

다른 수도권 지역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경기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전달(84.8%) 보다 0.1%p 높아진 84.9%로 집계됐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인천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83.5%로 작년 5월(83.8%)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두 지역 모두 잠시 하락세를 나타내던 전세가율이 작년 말을 기점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1인 가구가 주로 사는 소형 평수 오피스텔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 ‘공덕푸르지오’ 오피스텔 31.28㎡는 지난 5월 매매가(2억8000만원)보다 1000만원 낮은 2억7000만원에 전세계약이 체결됐다. 이 오피스텔의 전세가율은 96.43%에 달한다.

서강대·연세대·이화여대 등 대학들이 밀집한 서대문구 대현동 ‘유씨유이대’ 오피스텔 전용 17.66㎡는 지난 5월 1억8900만원에 매매됐는데, 같은 달 전세 보증금 1억9400만원에 계약이 체결됐다. 인근 A공인중개소 관계자는 “매매 매물은 나와도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는데, 인근 대학생과 직장인의 전세 수요는 많아 매물이 나오자마자 금방 소진된다”고 했다.

오피스텔의 전세가율 상승은 아파트 시장 전세 가격 상승의 ‘풍선 효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 전세금이 가파르게 오르자 목돈이 없는 사람들이 오피스텔로 옮겨가면서 오피스텔 전세가가 덩달아 뛴 것이다.

지난 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6억7792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8.15% 뛰었다. 오피스텔 전세가는 1년 전보다 8.25% 뛴 2억3416만원으로 나타났지만, 아파트 전세금의 절반도 채 안 된다.

전세가율이 높아짐에 따라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전세를 끼고 오피스텔을 여러 채 산 집주인들이 집값이 하락할 경우 집을 팔아도 전세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실제 올해 1∼4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취급하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상품의 사고 액수는 2018억원으로, 연간 사고액이 역대 최대였던 작년 1∼4월(1556억원)과 비교해 29.7% 늘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아파트에서 밀려난 사람들이 중·대형 오피스텔로, 또 중·대형에서 소형으로 ‘파도타기’처럼 전세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면서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임대차법에 따라 전세가를 올리지 못하다가 한번에 껑충 올리는 것도 한 요인”이라고 했다.

김송이 기자(grap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