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 이력 확인시 보증기간 단축..."지나치게 싼 매물 피해야"
전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암호화폐를 채굴했던 중국을 비롯해 전기요금이 비교적 저렴했던 동유럽 등 주요 국가 채굴업자들이 앞다투어 그래픽카드 처분에 나서고 있다.이러한 글로벌 정세는 7월부터 전기요금이 오르는 국내 시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 |
암호화폐 채굴의 채산성이 떨어지자 주요 국가 채굴업자들이 그래픽카드 처분에 나서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암호화폐 채굴 이후 처분되는 그래픽카드를 구입할 경우 보증기간이 1년으로 줄어드는 데다 장시간 구동으로 인한 고장이나 작동오류의 우려가 커 주의가 필요하다.
■ "중국 내 중고 그래픽카드 매물 급증"
미국 IT매체 톰스하드웨어는 최근 "중국 내 중고거래 플랫폼에 암호화폐 채굴 업자와 PC방 업주, 시세 차익을 노렸던 사재기꾼 등이 내놓은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 시리즈 그래픽카드가 대거 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
지포스 RTX 3080 탑재 레퍼런스 그래픽카드. (사진=엔비디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지포스 RTX 3080 그래픽카드 가격은 3천500위안(약 68만원)이다. 이는 RTX 3080 발표 당시 엔비디아가 제시했던 권장가격인 699달러(약 90만원)보다 더 저렴한 가격이다.
암호화폐 채굴에 널리 쓰였던 지포스 RTX 3060 Ti 가격은 2천370위안(약 46만원)까지 떨어졌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 60~70만원에 팔리는 신제품 대비 20만원 가까이 싸다.
■ 그래픽카드 채굴 전용시 보증기간 1년으로 단축
특히 다음 달부터 전기요금이 4.5%(가정용 기준) 오르는 국내 시장에서도 중고 그래픽카드 거래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채굴에 동원된 그래픽카드를 구입할 경우 보증기간이 지나거나 수리를 거부당하는 등 피해를 겪을 가능성이 커 주의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그래픽카드 제조사는 보증기간동안 제품에 문제가 생긴 경우 우선 이를 신제품으로 교체한 다음 고장난 제품을 본사, 또는 생산 시설로 보내 수리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 |
주요 제조사들은 채굴에 동원된 그래픽카드 수리에 일정한 제한을 두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국내 유통되는 그래픽카드는 대부분 보증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잡는다. 그러나 암호화폐 채굴에 쓰인 것으로 의심되는 제품은 보증기간을 1년으로 줄인다. 또 방열판 교체나 펌웨어 개조 등으로 제품이 손상되면 수리가 거부될 수도 있다.
■ 냉각팬 고장, 냉납 현상 등 수리해도 재발 우려
보증기간이 지났거나 심하게 손상되어 수리가 거부된 제품은 사설 수리업체에 맡길 수 밖에 없다.
먼지 등으로 냉각팬이 고장났다면 비교적 간단하게 수리를 마칠 수 있고 재발 확률도 낮다. 그러나 그래픽칩셋이나 메모리 등이 기판에 고정되지 않아 생기는 냉납 현상은 일반 소비자가 대처할 수 없다.
![]() |
그래픽카드 냉납현상 수리를 위한 리볼링 작업. 솔더링을 모두 제거한 후 부품을 다시 기판에 부착한다. (사진=유튜브 Nik Telo)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냉납 현상은 부품에 열을 가해 떼어낸 뒤 기판과 부품을 연결하는 솔더 페이스트를 모두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는 일명 '리볼링' 작업으로 해결할 수 있다. 비용은 문제가 생긴 부품 등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8만원에서 10만원 선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난 뒤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다.
■ "사용 이력 불분명하고 지나치게 싼 매물 피해야"
많은 소비자들은 채굴에 쓰인 그래픽카드를 새 PC 조립에 써서 차익을 챙기려는 악덕 업자를 경계해야 한다. 이 경우는 일련번호를 통한 생산 시점 조회, 냉각팬이나 방열판 등 먼지 부착 여부 등을 통해 쉽게 중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간의 중고거래에서는 이런 문제를 오히려 가려내기 어렵다. 제품 자체가 중고인데다 그래픽카드 사용 이력을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
![]() |
암호화폐 채굴 장비 조립을 위해 대기중인 한정판 그래픽카드. (사진=Nguyencongpc.vn 페이스북) |
한 모바일 중고거래 플랫폼 관계자는 "전문 업자가 채굴에 쓴 그래픽카드를 일반 소비자로 가장해 판다고 해도 채굴 여부를 숫자나 표시 장치 등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거래시 문제가 생겨도 중고거래 플랫폼이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취재에 응한 국내 주요 그래픽카드 제조사 법인·유통사 관계자들은 "각종 커뮤니티와 중고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중고 그래픽카드, 특히 시세 대비 지나치게 싼 제품은 가급적 사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
<©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