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과 일산, 산본 등 1기 신도시에서 여러 단지가 연합해 재건축을 추진하는 통합재건축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은 고양시 일산서구 후곡마을 10단지. [매경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 집주인들은 선호하는 주택정비 방식은 '재건축'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토연구원은 경기도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 546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후주택 정비방식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6.2%가 '재건축'을 택했고 리모델링(35.9%), 현행유지(11.2%) 등이 뒤를 이었다.
신도시 별로는 분당의 주택소유자 중 재건축을 원하는 비중이 57.1%로 가장 높았고 평촌(44.7%), 산본(44.4%), 중동(41.6%), 일산(40.3%)의 순으로 나타났다.
집주인들은 주택정비에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을 묻는 질문에는 재건축에는 1.8억원, 리모델링과 동별 전면 개조에는 1.0억 원을 지불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재건축의 경우 분담금이 2억원일 경우 56.0%, 3억원일 경우 82.0%가 사업 수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리모델링 사업의 경우엔 분담금이 1억원일 경우 40.0%, 1억5천만원일 경우 70.0%가 사업 수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를 진행한 손은영 국토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주택 재정비 방식으로 주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신도시별로 순위 간 격차가 존재하고 수단별 최대 지불가능 금액의 차이도 있어 수요자와 지역의 특성에 맞춘 관리 수단이 요구된다"며 "동별 전면 개조, 개별 전면 또는 부분 수선 등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방식을 택할 수 있도록 재정비 방식을 다각화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조사 대상인 주택 소유자 546명 가운데 보유중인 주택에 거주 중인 경우는 77.2%, 임대하고 있는 경우 22.8%로 나타났다. 주택수별로는 1주택자가 77.9%로 대부분이었고 2주택자는 18.5%, 3주택자 이상은 3.5%로 조사됐다.
주택 소유자의 77.1%는 매매를 통해 주택을 구입했으며 신도시 조성 초기 분양을 통해 구입한 비율은 20.3%로 나타났다. 증여 또는 상속은 2.0%, 기타 방법으로 구입은 0.5%였다. 주택구입을 위한 자금조달 방법은 필요 자금의 58.7%는 저축한 자금, 이 외 금액의 30.4%는 은행 대출로 각각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1기 신도시 주택 소유자들의 거주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직장·통근(32.4%)이었으며 이어 학교·학원 등 교육환경(17.0%), 도시공원과 녹지환경(13.7%), 부모·자녀·지인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13.2%) 등의 순이었다.
1기 신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이유 역시 직장·통근(51.2%)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손 전문연구원은 "소유자가 직접 거주하는 경우 대부분이 경기도로 통근하고, 미거주자의 상당수는 서울로 통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1기 신도시가 베드타운을 넘어 경제·생활 기반 측면에서 자족성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1기 신도시에서 전출을 희망하는 경우 가장 큰 이유는 주택의 노후 및 관리상태(23.1%)로 조사됐다. 이어 부모·자녀·지인 등과 가까이 살기 위해(20.9%), 직장·통근(14.3%), 주차장·공용공간·보안 등 시설(9.9%)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김동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