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지역위원장 사퇴한 '97그룹' 김해영 "전당대회 출마 고심 중"[스팟+터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팟+터뷰] “정치권 안팎에서 주목해 볼 만한 인물을 짧지만 깊이 있게 신속하게 인터뷰하는 코너입니다.”

‘97세대(90년대 학번·70년대생)’ 정치인인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4일 “전당대회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부산 연제구 지역위원장직을 내려놨다.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지겠다”는 이유를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전화 인터뷰에서 당의 진로에 대해 “민주당을 위한 민주당’에서 ‘국민을 위한 민주당’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다면 “당은 모르겠으니, 나만 살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당 전국청년위원장을 거쳐 20대 총선에서 부산 연제구에 당선됐다. 2018년 8·25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뒤 ‘조국 사태’에 쓴소리하며 주목받았다. 2020년 7월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부른 사실을 공개 사과했다. 당내에서 소신발언을 해온 그는 6·1 지방선거에서 패배한 민주당의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된다. 다음은 인터뷰 전문.

경향신문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창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한 이유는.

“지방선거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겠다고 생각했다. 선거 패배에 책임질 위치에 있던 사람들에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라고 독려하는 의미도 있다.”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다면.

“‘당은 모르겠고 나만 살자’는 것이다. 이 의원은 대선·지방선거 패배 책임자다. 이 의원의 많은 형사 사건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한 것도 정치적으로 부끄러운 행동이었다. 성남 분당갑으로 갔어야 한다.”

-친문재인계 전해철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했다.

“전당대회가 자칫 계파 갈등 양상으로 갈 수 있다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희생하면서 당에 도움되는 어려운 결정을 해주셨다. 불출마가 이어지면 세대교체 공간이 넓어질 것이다. 젊고 새로운 세대의 도전은 정치발전, 당 발전에 긍정적인 현상이다.”

-이번 전당대회에 도전하나.

“여러 이야기를 들으며 고심하고 있다.”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생)’ 용퇴론에 대한 생각은.

“특정 세대를 통째로 물러나라는 것은 맞지 않는다. 다만 국회에 다양한 가치를 지향하는 사람들, 청년이나 여성이 더 많이 진출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79세대 당 대표론을 어떻게 보나.

“나이가 꼭 중요한 건 아니다. 70년대생이 그동안 어떤 행보를 해왔고 앞으로 어떤 비전을 제시하느냐가 중요하다.”

-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민주당을 위한 민주당’에서 ‘국민을 위한 민주당’으로 나가야 한다. 당리당략에 집착하기보다는 국민 전체 이익을 우선하는 모습으로 더 인식돼야 한다.”

-당이 의원 워크숍에서 ‘내로남불’을 반성했다.

“당이 환골탈태하려면 어떤 사건에 대한 내로남불을 반성하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조국 사태, 오거돈·박원순 성폭력 사건, 윤미향 사건, 비례위성정당 창당 모두 우리 당의 내로남불 사례다.”

-팬덤정치에 대한 생각은.

“팬덤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다. 팬덤이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표출되는 건 당내 민주주의,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당의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법안 처리 과정을 비판했다.

“다수의 폭주를 견제하고 제동을 거는 것이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요소다. 우리 당이 다수 의석으로 밀어붙이는 모습이 국민에겐 다수의 억압적인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위장 탈당도 의회주의 정신을 유린하는 좋지 않은 모습이었다.”

-당 윤리심판원이 성희롱 논란에 휩싸인 최강욱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를 내리자 일부 당원들이 반발했다.

“당이 국민 눈높이에 맞게 결단했다. 당 윤리심판원은 독립적인 위상을 가진 기구이기 때문에 그 결정을 존중하는 게 좋다.”

-정치인으로서 앞으로 각오는.

“사람들이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사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 이를 위해 국가가 교육·주거·의료 분야에서 지금보다 두텁게 기본적인 복지를 제공해야 한다. 문화적으로는 다양성 존중과 탈권위 가치가 중요하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