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30 (월)

이슈 로봇이 온다

서빙로봇 이어 배송로봇까지 외산이 점령?..."규제개선 속도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고석용 기자]
머니투데이

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오후 서울 강서구 규제샌드박스 승인기업인 로보티즈를 방문해 자율주행 배달로봇 '일개미'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0년 연 5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자율주행 배송로봇 산업에서 국내 로봇기업이 설 자리를 잃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내 로봇기업들이 규제에 막혀 실증조차 속도를 제대로 내지 못하는 반면 해외기업들의 배송로봇 진출이 가시화하고 있어서다. 윤석열 정부가 관련 산업의 규제완화를 약속했지만 제도 변화가 속도를 내지 못할 경우 서빙로봇에 이어 배송로봇까지 외산에 잠식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대기업들의 자율주행 배송로봇 실증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KT가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관련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받은 데 이어 우아한형제들도 이달 초 로봇산업진흥원 주관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에 선정돼 실내외 배송로봇 서비스를 진행하기로 했다.

문제는 배송로봇 서비스에 사용되는 로봇들이 대부분 해외기업들의 로봇이라는 점이다. KT가 규제샌드박스 특례를 받아 진행하는 배송로봇 사업은 '러시아의 구글'로 불리는 빅테크 기업 얀덱스 그룹의 로봇으로 운영된다. KT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얀덱스의 자회사 얀덱스SDG(Self Driving Group)와 업무협약을 맺고 1월에는 공식적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우아한형제들의 배송로봇도 외산 로봇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우아한형제들에 따르면 내년부터 진행되는 테헤란로 배송로봇 서비스에 활용되는 로봇 '딜리 드라이브'는 중국의 젠로보틱스(Zhen robotics)사의 하드웨어에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개발됐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2018년부터 실외 배송로봇 서비스를 기획하고 글로벌 로봇업체들과 협업했다"고 전했다.


"국내 로봇 육성·보호해야…서빙로봇, 이미 70%가 중국산"

머니투데이

농협경제지주가 서빙로봇을 이용한 서비스를 시범사업으로 선보이고 있다/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 서비스 로봇들의 국내시장 진출 속도가 빨라지면서 토종 로봇기업들에 대한 정책적인 육성·보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미 자율주행 실내 서빙로봇 시장은 중국산 로봇들이 국내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어서다.

관련업계와 정부에 따르면 아직까지 국내 서빙로봇 시장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업계는 주요 업체가 공개한 판매량 등을 기준으로 지난해에만 최대 3000대의 서빙로봇이 보급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70% 이상은 중국의 로봇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란 게 업계의 추산이다.

가장 큰 이유는 중국업체들의 가격경쟁력이다. 한 자율주행기술 개발 스타트업 대표는 "실내 식당에서 사용하는 서빙로봇은 이동경로가 한정적이고 범위도 짧아 천장에 경로를 마킹하고 카메라로 주변 장애물을 인식하기만 해도 로봇을 도입할 수 있다"며 "이같은 방식으로 푸두봇과 키논 등 중국 로봇들이 가격경쟁력을 높여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다"고 했다.


한 발 빠른 해외기업·정부…"배송로봇 시장도 안심 못 해"

머니투데이

러시아의 구글 얀덱스의 자회사인 얀덱스SDG의 배송로봇 사업/사진=얀덱스SDG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외 자율주행 배송로봇 시장의 상황은 다르다. 주행경로가 다양하고 범위도 넓어 가격경쟁력보다는 기술력이 시장 공략 포인트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국내 스타트업이 기술력을 활용해 시장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는 영역"이라고 전했다. 이달까지 뉴빌리티, 로보티즈, 트위니, 언맨드솔루션 등 15개 기업·기관이 자율주행 로봇 실외주행 관련 규제특례를 받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배송로봇 시장 역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해외기업들이 우리나라보다 한 발 앞서 기술 개발에 뛰어든데다 정부도 자율주행 배송로봇 통행을 법제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해 이미 기술 수준이 높다는 이유다. 반면 우리나라는 규제특례를 부여하지만 현장요원 대동, 현장 관할청 허가 등 부대조건을 걸어 스타트업이 기술 개발에만 전념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KT와 우아한형제들 등 대기업이 해외 로봇기업과 기술 협업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KT가 협업하는 얀덱스SDG의 경우 2020년 말부터 러시아, 미국 일부 주에서 자율주행 배송로봇 서비스를 진행해왔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도 "2018년 서비스를 기획하고 협업할 로봇 제조사를 찾을 때만 해도 국내에는 기술을 충족하는 기업이 없었다"고 전했다.


K-로봇 날개 펼 수 있을까…"규제개선해 성장기반 만들어야"

머니투데이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뉴빌리티, 로보티즈, 트위니, 언맨드솔루션의 자율주행 배송로봇 /사진=각사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업계는 정부가 신산업 규제개선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인 만큼 기술개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 초 자율주행 로봇 규제샌드박스 실증시 현장요원 대동 등 부가조건을 완화하고 인도나 횡단보도 통행을 금지한 지능형 로봇법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달 8일 자율주행 로봇 스타트업 로보티즈를 방문해 "규제 개선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국내 스타트업도 기술력을 기반으로 자금을 유치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뉴빌리티는 지난해 인천 송도, 서울 서초·송파구 등에서 진행한 배송로봇 실증 성공을 기반으로 최근 230억원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트위니 역시 지난해 17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고 최근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도 배송로봇 시장에 관심을 가지면서 해당 분야의 투자나 인수합병(M&A) 등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자본이 몰리면 국내 기업들의 기술 개발도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을 열고 국내 기업에도 자본이 몰릴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완화 의지가 구호에 그치지 않고 정책변경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