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아동수당이 '퍼주기 복지'?···김승희 내정자, 의원 시절 부정적 발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 대통령실 제공


20대 국회에서 국민의힘의 전신인 자유한국당 비례대표를 지낸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자는 의원 시절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동했다. 당시 김 내정자는 아동수당 등 보편적 복지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수차례 밝혔고, 연금개혁과 관련해 보험료 인상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윤석열 정부가 국정과제로 부모급여 등 보편 복지 확대와 보험료 인상을 포함한 연금개혁을 내세운 것과는 배치된다. ‘문재인 케어’로 대표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기조에 대해선 윤석열 대통령과 김 내정자 모두 부정적 입장을 보여 건강보험 확대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아동수당에 “퍼주기 식 묻지마 복지” 비판

김 내정자는 의원 시절인 2018년 11월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당시 6세 미만에서 15세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의 ‘아동수당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경제적 수준을 고려해 선별 지급되고 있는 아동수당을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상관없이 지급하고, 수급 대상 연령도 확대하자는 취지의 법안이었다.

그런데 김 내정자가 당시 법안을 발의하기 불과 두 달 전까지도 아동수당 보편지급 추진에 매우 비판적이었다. 2018년 9월 라디오 인터뷰에서 “처음 아동수당 지급을 앞두고 있는데 정책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이걸 100%까지 다 주자, 이런 움직임이 있다는 건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그 해 7월 원내대책회의에선 성남시의 아동수당 100% 지급 추진과 관련해 “단순히 성남시 일방의 추진인지 아니면 박능후 (당시 복지부) 장관과 사전에 입을 맞추고 아동수당 100% 전면지급을 하기 위한 단계적 전략인지 밝혀야 할 것”이라고 했다. 2017년에도 “주식부자 어린이도 받는 무차별한 아동수당”이라며 “퍼주기 식 묻지마 복지”라고 비판했다.

김 내정자가 갑자기 180도 입장을 바꾼 건 당시 자유한국당이 아동수당 보편지급에 대한 입장을 선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성태 당시 한국당 원내대표는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회의에서 아동수당법 개정을 포함한 합의문을 도출한 바 있다.

김 내정자가 과거 반복적으로 밝힌 아동수당 등 보편적 복지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은 현 정부의 정책 기조와도 배치된다.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발표한 국정과제를 보면, 기존 아동수당에 더해 0~11개월 아동에게 월 100만원씩 지급하는 ‘부모급여’를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0~6세 아동에게 지급하는 아동수당의 수급연령을 만 8세 미만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금개혁 보험료 인상 말자 주문…현 정부 개혁 방향과 배치

연금개혁에 대해선 보험료 인상 대신 운용 수익률을 올리자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 김 내정자는 2018년 8월 당시 연금개혁안에 대해 “문재인 정부는 수익률을 높여서 국민연금 곳간을 쌓을 생각을 하지 않고 노후소득보장이라는 그럴싸한 말로 보험료를 올려 국민 지갑을 먼저 털겠다는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연금 운용수익률을 1%만 올려도 기금고갈을 5년 늘릴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증언”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 역시 현 정부의 연금개혁 기조와 배치된다. 윤석열 정부는 국민연금 ‘적정부담-적정급여 체계’ 구축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혀 보험료율 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연금 재정의 고갈을 막기 위해선 보험료율을 올리거나 연금 수급 시기를 늦추는 등의 방안이 불가피하다는 게 중론이다. 보험료율 인상 없이 운용 수익률 제고만으로 연금개혁을 하는 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최현수 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재정·정책연구실장은 “운용 수익률은 (주식 시장과 경기 상황 등에 따라) 굉장히 유동적이기 때문에 주된 개혁 방안으로 삼을 순 없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초기 ‘중국인 입국금지’ 주장

김 내정자는 2020년 1월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당 우한폐렴대책TF 간사를 맡아 ‘중국인 입국 금지’를 주장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정부가 ‘중국 눈치보기에 급급하지 않나’ 심히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당시 중국발 입국 제한은 실효성도 없고, 대중 경제의존도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할 때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었지만, 당시 보수야당(현 여당)은 문제인 정부에 대한 ‘대중 굴종 외교’ 프레임으로 이같은 주장을 반복했다.

한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인 입국 금지만으로 될 문제는 아니었다”면서 “우한시를 방문하거나 중국을 경유한 다른 외국인과 한국인들까지도 다 관리를 해야 했는데, 인력이나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우한시가) 워낙 교류가 많은 도시였어서 당시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발생이 보고되기 전) 이미 지역사회에 들어왔었을 거란 예측을 많이 했다”는 설명이다.

■‘문재인 케어’ 저격수…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제동 걸리나

치매국가책임제와 ‘문재인 케어’ 등 전 정부 대표 보건의료정책의 ‘저격수’로 통하기도 했다. 김 내정자는 2017년 10월 국정감사전략회의에서 문재인 케어에 대해 “‘묻지마 아이돈케어’에 불과하다”며 “충분한 논의없이 졸속으로 추진되는 문재인 케어로 인해 건강보험 재정파탄은 불 보듯 뻔하고 그 피해는 미래세대에 고스란히 건보료 폭탄과 세금 폭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해서도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포장만 거창하고 내용이 없고 무책임한 문재인 정부의 퍼주기 식 복지에 대해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도 후보 시절 공약집에서 “문재인 케어는 비급여의 무차별적인 급여화로 건강보험 재정만 악화시키고 요양-간병에 대한 국가지원체계 공백 등 국민이 고통받고 있는 가장 절실한 문제는 방치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현 정부도 문재인 케어의 대대적인 개편을 예고한 만큼 김 내정자가 새 복지부 수장으로 임명되면 건강보험 보장성을 강화하는 기존 기조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최 실장은 “건강보험은 제도적으로 짜여진 틀이 있어 일방적으로 보장성을 줄이긴 어렵다”면서도 “일부 급여 항목 중에 오남용이 심하다고 판단되는 것들은 검토를 한다든지, 박근혜 정부 때처럼 중증 환자 위주로 제한적인 확대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