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회사사람 보는 시간 2배라니…화상회의가 창의성 막은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컬럼비아대 연구진 ‘네이처’ 발표

“대면회의보다 아이디어 14% 감소

동료 직접 쳐다보는 시간 되레 늘어

화면에 신경 집중…아이디어 막혀”


한겨레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시작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년여 만에 해제됐지만 코로나19 전과 후의 일상은 달라졌다.

최근 네이버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근무제도를 도입했다. 주 5일 근무 중 3일만 출근하거나 아예 거리두기 때처럼 전면 재택 또는 원격 근무할 수 있게 했다.

온라인 업무 처리가 많은 정보기술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런 방식에 대한 고민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한 실태 보고서에서도 재택근무는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생산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겨레

코로나19는 화상회의를 일상 속으로 가져오는 계기가 됐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명 ‘커넥티드 워크’(Connected Work)라고도 불리는 새 근무 방식에선 비대면 화상회의가 협업의 주요한 도구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이다. 화상회의는 대면회의에 비해 창의성이라는 면에서는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화상회의는 회의를 위해 온 신경을 화면에 집중시키는 탓에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올 틈을 막아버릴 가능성이 크다. 서로 격의 없이 나누는 이야기 속에서 새로운 발상의 단서를 얻고 발전시켜나가는 브레인 스토밍이 잘 안된다는 얘기다.

연구진은 602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은 뒤, 이들에게 버블랩(일명 뽁뽁이)이나 프리스비(플라스틱 원반) 같은 물건을 주고 어떤 용도로 쓰면 좋을지 아이디어를 내도록 요청했다. 아이디어 회의는 대면회의 그룹과 화상회의 그룹으로 나눠 각각 5분씩 진행했다. 그 결과 화상회의 그룹에서 나온 아이디어 수가 대면회의 그룹보다 14%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

대면회의와 화상회의 실험 장면. 네이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상대방 쳐다보는 시간이 2배 차이


아이디어 내용에 대해서도 대면회의 그룹이 좋은 점수를 받았다. 연구진이 각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학생 심사위원단에게 점수를 매겨주도록 요청한 결과 대면회의 그룹의 아이디어가 더 창의적이고 참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화상회의에서 창의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연구진은 실험참가자들의 시선 추적 데이터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화상회의 참가자들은 대면회의 참가자들보다 서로를 직접 쳐다보는 시간이 두배나 더 많았다. 연구진은 대화 상대방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창의적 아이디어가 샘솟을 구멍을 막아버린 것으로 해석했다.

화상회의가 창의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이전의 몇몇 연구 결과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스탠퍼드대의 제레미 베일렌슨 교수(버추얼휴먼인터랙션랩 초대 대표)는 지난해 한 국제학술지(2021년 2월24일 ‘기술, 마음과 행동’)에 화상회의가 피로도를 높인다며 그 요인으로 4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눈의 과도한 화면 집중, 둘째는 자신의 얼굴 노출에 대한 부담감, 셋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 동시 처리라는 인지적 부하, 넷째 고정된 자리에 박혀 있어야 하는 제약성이었다.

카네기멜론대 연구진은 화상회의가 집단적 소통을 통한 문제 해결을 방해한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2021년 3월23일 ‘플로스 원’)하면서 집단지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디오를 잠시 끄고 오디오만으로 소통할 것을 권고했다.

한겨레

실험 참가자들이 방을 둘러보는 데 소요된 시간이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을 예측하는 지표 역할을 했다. 대면회의 참가자들이 방을 둘러보는 시간이 훨씬 더 길었다. 네이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고 아이디어 고르는 데선 더 좋은 성과


그러나 제안된 아이디어 가운데 가장 나은 것을 고르는 것으로 화제가 바뀌었을 땐 화상회의가 더 좋은 성과를 냈다. 연구진은 “이는 화상회의가 좀더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어 한 다국적 통신 대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이 회사의 엔지니어 1500여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 회의를 하도록 했다. 그 결과 여기서도 대면회의 그룹에서 17% 더 많은 아이디어가 나왔다. 외부 평가단은 내용면에서도 대면회의 그룹의 아이디어가 더 창의적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각 그룹이 선택한 최종 아이디어의 품질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거리두기 해제 이후 재택근무를 지속할지를 두고 고민하는 기업들에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출퇴근 시간과 업무 비용을 줄여주고 즉각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재택근무의 장점을 계속 살려나갈 것인가? 창의적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데 취약하다는 비대면회의의 약점은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기업들이 직원과 회사가 모두 만족할 만한 절충점을 찾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항상 시민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 신청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