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성인 1019명 대상 한미정상회담 관련 인식조사
"회담 최대 성과, 한미동맹 강화·기술협력 구체화"
![]() |
건배하는 한미 정상.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건배하는 한미 정상. 연합뉴스
우리 정부 출범 후 가장 빠르게 성사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국민의 74.8%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지난 21일 열린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성과에 대해 인식조사를 진행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4일 밝혔다.
![]() |
전국경제인연합회 의뢰로 모노리서치가 전국 성인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성과에 대해 인식조사한 결과.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의뢰로 모노리서치가 전국 성인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성과에 대해 인식조사한 결과.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역대 최단기에 열린 한미정상회담이라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한 답변은 60.1%, '긍정적' 답변은 14.7%로 긍정 평가가 70%를 넘었다.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매우 만족'과 '만족' 응답도 각각 53%, 21.2%로 나타났다.
이번 회담의 최대 성과로는 '한미동맹 강화'(47.2%)와 '핵심·신흥기 술협력 구체화'(32.3%)를 꼽았다. 해외 원전 수출과 소형원자로 기술협력 등 '에너지 협력 강화'에 응답한 비율은 7.2%였다.
특히 한국의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참여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으로 '역내 주요국들과 공급망 협력 강화'로 답변한 비율이 53.7%를 차지해 공급망 안정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PEF 참여가 한국의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응답은 14.6%였다.
반면 한미 경제안보 협력이 강화됨에 따라 중국의 견제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는 응답은 14.3%에 그쳤다.
전경련은 "이번 IPEF 참여에 대해 기대가 큰 만큼 우리 경제발전의 계기로 삼는 동시에 주변국과의 관계 관리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