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몰락한 테라 앵커프로토콜…'폰지 사기'보다는 DAO 시스템이 문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태계 구성원 투표로 의사결정하는 DAO, 19%대 이자율 계속 유지

"앵커 예치자산 빠지며 루나 더욱 폭락…법제화 시급"

뉴스1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과 윤창현 가상자산특별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루나·테라 사태, 원인과 대책'을 주제로 열린 긴급세미나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5.23/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테라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서비스인 앵커프로토콜이 '폰지 사기'보다는 가격 유지 알고리즘과 탈중앙화자율조직(DAO)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로 몰락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23일 전인태 국민의힘 가상자산특별위원회 위원(가톨릭대 수학과 교수)은 국민의힘 정책위원회가 주최한 '루나 테라 사태, 원인과 대책은' 세미나에 참여해 이 같은 해석을 내놨다.

◇DAO 시스템·테라 알고리즘 취약점 드러나

앵커프로토콜은 루나를 유동화한 토큰 'bLUNA'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 UST를 대출하고, 이 UST를 예치함으로써 이자를 받는 디파이 서비스다. 19%대의 높은 이자율을 내세워 테라 블록체인 기반 디파이 서비스 중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며, UST 및 루나의 수요가 늘어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지난 8일부터 UST의 1달러 고정 가격이 무너지는 '디페깅' 현상이 일어나면서 앵커프로토콜에서도 예치 자산이 급감하기 시작했다. 앵커프로토콜의 자산이 급감하면서 UST의 수요는 더욱 줄어, 1달러 가격이 0.3달러까지 폭락했다. UST의 가치 유지를 위한 '자매 코인' 루나의 가격 역시 급락했다.

이에 피해를 본 투자자들 사이에선 앵커프로토콜이 폰지 사기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9%대의 이자는 뒤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자금이 있어야 지급할 수 있다는 게 근거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전 위원은 "앵커프로토콜은 총 예치금, 총 대여금, 이자 지금을 위한 리저브(준비금) 등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투명하게 공개하고 리저브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까지 공개했다"며 "(투자자들을) 기망할 의도가 있었다면 이런 정보를 공개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테라 UST와 루나의 폭락, 앵커프로토콜의 몰락은 폰지 사기라기보다는 DAO 시스템과 테라 알고리즘의 취약점이 드러난 사례라고 전 위원은 설명했다.

DAO 시스템 상에서는 블록체인 생태계 구성원의 투표로 크고 작은 사안을 결정한다. 구성원들은 생태계에 문제가 발생해도 자신들이 받는 19%대의 이자를 줄이는 데 찬성하지 않으므로 앵커프로토콜이 지속되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또 테라 알고리즘이 취약한 것 역시 문제다. 테라는 스테이블코인 UST의 가격이 1달러 미만으로 떨어지면, UST를 루나로 전환하면서 소각해 공급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가격을 다시 1달러로 끌어올린다. 이 때 루나 공급량은 늘어나므로 단기적으로 루나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

이번 사태처럼 UST 가격이 회복되지 못한 상황에서 UST를 루나로 계속 전환하면 루나 가격은 끝없이 하락하게 된다. UST와 교환되는 루나의 양은 점점 많아지고, 더 많은 양의 루나가 거래소로 유입돼 가격을 더욱 하락시키는 구조다.

전 위원은 "(알고리즘 취약점으로 인해) 신뢰가 무너지며 '코인런'이 발생하고, UST 디페깅이 가속화되면서 루나 발행량 증가 및 가격 하락은 가속화되는 '죽음의 나선'에 돌입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알고리즘의 취약점 때문에 이번 테라 사태의 피해 규모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공인 암호화폐 평가 회사 필요"…커진 법제화 필요성

문제는 이 같은 취약점이 루나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고지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전 위원은 제대로 된 평가기관이 부족하고,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심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가 많은 거래소에서 대량으로 거래됐다"고 지적했다.

또 "이러한 취약점이 많이 지적되고 있었음에도 관련 내용이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를 토대로 전 위원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와 감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거래소에서 대량으로 거래되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소비자 위험이 증가했다"며 "상장, 상장폐지 및 공시에 대한 공적인 관리감독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필요성이 커진 만큼, 암호화폐에 대한 공인된 평가 시스템이 법제화돼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공인된 복수의 암호화폐 평가 회사를 설립하도록 하고, 거래소에서 암호화폐 상장 및 공시를 위해 2~3개 평가 회사로부터 평가를 받게끔 해야 한다고 전 위원은 주장했다.

또 거래소의 책임과 의무, 시장 및 거래 참여자의 적격성, 범죄 예방 및 소비자 보호 방안 등도 법제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 위원은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소정의 교육을 수료해야 하는 등 자격 제한을 두어 일반 소비자들을 보호하고, 기관 등 전문투자자들의 투자를 주도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고 강조했다.
hyun1@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