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신라 금관은 왜 바이든에게 ‘데드마스크’로 소개됐나 [클로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 앞서 신라관에서 금관을 관람하고 있다. 2022.05.21.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양의 데드마스크 표현을 빌렸더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고개를 돌려 눈을 마주치셨습니다.” (신소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22일)

신라 시대를 다룬 콘텐츠를 보면 눈에 띄는 것이 있죠. 커다란 금관을 머리에 쓴 왕의 모습인데요. 그 무거운 금관을 머리에 쓰고 옛 사람들은 정말 하루 종일 생활할 수 있었을까요.

이 금관, 정말 이들이 평상시 생활용품으로 머리 위에 썼던 걸까요. 21일 바이든 대통령이 들은 금관 관련 비유에서 우리는 이와 다른 해석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의 한미 정상 공식 만찬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10여분간 박물관을 관람했습니다.

● 촉박한 시간에도 바이든 이목 끈 것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오후 7시 34분쯤 박물관에 도착해 윤 대통령과 신라 금관 등을 관람했습니다. 이전 회담이 길게 이어져 실제 박물관에서의 관람 시간은 10여분으로 촉박했습니다.

그럼에도 바이든 대통령의 귀를 사로잡은 비유가 있었습니다.

박물관 측 관계자가 신라 금관을 설명하면서 우리 측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이해를 돕기 위해 꺼낸 말은 ‘데드마스크’였습니다.

얼핏 듣기에는 죽은 사람의 얼굴을 가리는 용도로 들리지요.

실제 신라 금관은 발굴 당시 왕의 머리 위에 있던 것이 아니라 고깔 모양으로 휘어 죽은 왕의 얼굴을 감싼 형태로 발굴돼 그 용도를 두고 다양한 시각이 존재했습니다.

이날 현장에서 양 정상에게 전시를 안내한 신소연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22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금관을 왕이 실제 머리 위에 썼는가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금관은 얼굴을 가리는 용도로, 둘레가 크다”며 “이 때문에 금관을 실제로 머리에 쓰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금관, 쓰기엔 지나치게 크고
금 변형 심해…얼굴 덮개 가능성


이는 실제 학계에서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발굴 당시의 모습과 금관의 둘레가 머리 위에 쓰기엔 지나치게 크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얼굴에 덮는 용도로 만든 것이 맞다는 설입니다.

이 때문에 전날 바이든 대통령에게 금관의 용도를 설명하면서 비유적으로 데드마스크란 표현이 나온 겁니다.

서양에는 고인의 얼굴을 본따 만드는 데드마스크가 있어요. 금관은 얼굴 가리개 정도이니 완벽히 들어맞는 것은 아니나 비유적으로 나온 말입니다.

이 표현에 바이든 대통령은 고개를 돌려 눈을 마주치고 관심이 있다는 표현을 했다는 전언입니다. 서양권에서 금관의 용도와 그에 대한 설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나온 표현이죠.

실제 금관은 잘 구부러지고 휘기 때문에 평상시 왕이 쓰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것이란 해석도 이러한 비유에 설득력을 더합니다.

● 금관 디자인 두고 설왕설래
장례용품 가능성 제기돼


금관 모양이 나뭇가지의 형태가 변형된 구성이 주를 이루는 점도 해석에 신빙성을 더합니다.

나무 모양, 사슴 뿔 등이 있는 것은 신성한 나무가 지상과 연결한다는 고대 신앙을 반영한 것이죠. 이를 미루어 보아 고대 북방민족이 사슴과 나무를 하늘과 인간의 연결고리로 봤던 해석을 떠올려볼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금관에 달린 곡옥은 생명의 열매를 상징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일각에는 곡옥은 열매가 아닌 용이며, 관에 새가 표현된 것은 지상과 하늘의 연결이라고 보는 시선도 존재합니다.

상징에 대한 세부 의견이야 분분하지만 공통적으로는, 금관을 두고 평시 왕이 쓰던 용품이 아닌 장례용품으로써 샤머니즘·내세적 관점을 반영한 시각이 존재하죠.

이러한 관점, 크기, 금의 변형성 등 때문에 금관을 평시 쓰는 일이 어려웠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신라 금관은 사실 ‘왕이 쓰는 왕관의 일종’이 아닌 죽음 후, 혹은 언제 쓰였지 모를 ‘얼굴 가리개’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거죠.

실제 지난 2020년에도 금동관 출토 현장 설명회에서 망자의 얼굴을 가리는 용도로 쓰인 것이라는 설명이 나온 바 있습니다. 출토 당시의 모습이 이 주장을 증명했죠.

신비로운 신라의 금관, 실제 현실에서 왕의 머리 위에 쓰는 위엄의 상징이 아니라요. 지상과 하늘을 연결하는 고대인의 신앙에서 나온 가신 분에 대한 예우의 상징이었을 가능성이 있군요.
서울신문

망자의 얼굴을 가리는 용도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관. 강민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민혜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