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소극적인 탄력근무제, 가족친화지수 갉아먹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나 가족돌봄휴직 사용이 증가하면서 기업과 공공기관의 가족친화 수준이 3년 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민간과 공공의 격차는 전보다 더 벌어졌다.

여성가족부는 2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가족친화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되는 것으로, 이번에는 1,700개(공공 800개, 민간 900개)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가족친화지수 6.3점 쑥... 코로나 영향

한국일보

null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업·기관의 가족친화지수는 46.9점으로 3년 전보다 6.3점이 올랐다. 상승 폭이 2018년 조사 때(4.5점)보다 크다. 가족친화지수는 주요 가족친화 제도의 도입과 이용 현황을 △가족친화 문화 조성 △출산·양육·교육 지원제도 △탄력근무제도 등 5가지 세부 지수로 분류해 산출한다.

가족친화지수 상승은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이 컸다. 재택근무나 가족돌봄휴직이 전보다 많이 활용됨에 따라 △부양가족 지원제도(18.3점 상승) △탄력근무제도(11.8점 상승) 지수가 크게 오른 것이다.

가족친화 어려운 이유 '다른 직원 부담'

한국일보

포스코가 전면 재택근무를 종료한 4월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 사옥에서 직원들이 점심식사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공공과 민간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공공과 민간의 가족친화지수 격차 점수는 14.6점으로, 3년 전(13.1점)보다 더 높다. 민간 기업들이 특히 탄력근무제 운영에 소극적이었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부문의 탄력근무제도 지수는 42.4점인데, 민간은 20.6점에 그쳤다.

가족친화 인증 기업과 미인증 기업의 격차도 더 커졌다. 격차 점수가 18.4점으로, 3년 전(16점)보다 높다. 탄력근무제도 지수를 비교하면 인증 기업은 47.3점, 미인증 기업은 19.6점으로, 역시 차이가 크다.

기업들이 가족친화제도를 실시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주로 '다른 직원 업무 부담 가중(18.6%)', '제도 효과성의 불투명(13.5%)'이었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근로자들이 일·가정 양립 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오지혜 기자 5g@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