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소득 최대로 늘었다지만…고물가에 허리띠 졸라맨 가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경향신문]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월평균 소득 10.1% 증가한 482만원
근로·사업·이전소득 모두 늘어나
취업자 수·서비스업 회복세 영향

물가 감안 때 실질소득 6.0% 증가
실질 소비지출은 고작 0.8% 늘어
식료품·교통 부문은 오히려 감소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년 전보다 10.1% 늘면서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다만,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물가 요인을 제거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6.0%에 그쳤다. 거리 두기 완화로 지출도 많이 늘었지만 물가 수준을 감안하면 실질 소비 자체는 많이 늘지 않았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올 1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한 해 전에 견줘 10.1% 늘었다. 통계가 작성된 2006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근로소득(10.2%), 사업소득(12.4%), 이전소득(7.9%) 등 재산소득을 제외한 모든 소득원에서 고루 늘었다. 방역지원금과 손실보상금이 포함된 공적이전소득은 9.5% 증가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가구당 취업자 수와 자영업자 수가 증가해 벌어들이는 근로·사업소득의 파이가 커졌다”며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등으로 공적이전소득도 증가했다”고 말했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의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월평균 104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6% 늘었다. 임시직 취업자가 늘면서 근로소득이 큰 폭(34.2%)으로 개선된 데다 공적·기초연금 확대로 공적이전소득(15.9%)이 증가한 영향이다. 공적이전소득의 분위별 소득 증가 기여도는 1분위에서 가장 높았다. 2분위와 3분위, 4분위의 소득 증가율은 각각 10.4%, 9.2%, 4.4%였다. 상위 20%인 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1083만3000원으로 11.5% 증가했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고소득층 증가율을 앞서면서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배율(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배율)은 6.2배로 전년 1분기(6.3배)보다 낮아졌다. 다만,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6.0%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실질소득은 명목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친 것이다.

올 1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음식·숙박(13.9%), 교육(13.5%)이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보건 부문(7.5%) 지출도 증가했다. 다만 물가상승률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은 0.8% 증가에 그쳤다. 실제 소비를 늘리지 않았는데, 물가가 올라 똑같은 소비를 하고도 지출이 증가했다는 의미다. 예컨대 실제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0.9% 늘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3.1%로 오히려 감소했다. 교통 부문 지출은 2.8% 증가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6%로 쪼그라들었다.

지출보다 가계소득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가계 수지는 개선 흐름을 보였다.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86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 증가했고 흑자액(132만9000원)은 21.7% 올랐다. 적자가구 비율(23.5%)은 한 해 전에 견줘 1.1%포인트 감소했지만 저소득층의 적자가구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1분위·57.2%)이었다.

기획재정부는 “1분기 가계동향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됐으나 향후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며 “취약계층의 소득지원과 안전망 강화에 재정지원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