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1분기 가구 월평균 소득 482만원… 1년전보다 10.1%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작성 이후 최대폭

물가상승 고려 실질소득은 6%↑

근로소득 10.2·사업소득 12.4%↑

하위 20% 소득은 14.6% 증가

소득 분배상황 다소 개선 흐름

월평균 지출은 350만원… 6.2%↑

세계일보

지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년 전보다 10% 이상 급증했다. 통계 작성 이후 최대폭 증가다. 특히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고소득층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소득분배 상황은 1년 전과 비교해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1%에 못 미쳤다. 소득이 늘어난 만큼 실질적인 씀씀이가 커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1% 늘었다. 이는 1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해당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다만 물가변동분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6.0% 증가했다.

통계청은 최근 취업자 증가에 따른 근로소득 증가와 서비스 업황 개선 등으로 인한 사업소득 증가,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지급과 같은 공적이전소득 증가로 소득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근로소득(306만2000원)과 사업소득은(86만2000원)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10.2%, 12.4% 늘었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모든 분위의 총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소득 하위 20%) 가구의 소득이 1년 전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1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14.6% 증가한 104만3000원을 기록했다. 사업소득은 7% 감소했으나 근로(34.2%)·이전소득(12.7%) 등이 전체 소득 증가를 이끌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는 임시직과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늘면서 고령층 가구 비중이 큰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늘어난 영향도 컸다. 2분위의 소득은 전년동기 대비 10.4% 늘었으며, 3분위 9.2%, 4분위 7.1%, 5분위 11.5% 등의 증가율을 보였다.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83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총소득이 증가하면서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386만원)도 전년보다 10.0%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총소득에서 비소비지출(조세·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한 것으로, 실제 쓸 수 있는 돈을 뜻한다.

소득에 비해 지출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작았다.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49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 이 중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물가 상승 영향 등으로 4.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소득이 오른 만큼 소비지출이 많이 오르지는 않았다”면서 “(소득에 비해) 아직은 소비가 회복되진 않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물가 변동을 감안한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은 0.8% 수준에 머물렀다. 증가된 명목 소비지출의 대부분이 최근 오른 물가 부분을 채우는 데 사용됐다는 것으로, 실제 소비는 거의 증가하지 않은 셈이다. 다만 통계청 측은 “그동안 1분기 실질 기준 소비지출이 (마이너스로) 떨어졌던 적도 많아서 0.8%면 다른 분기들에 비해선 회복세를 보이는 게 아닌지 조심스럽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인도가 식량 안보를 이유로 밀 수출을 전격 금지함에 따라 국내 밀가루 가격도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밀가루를 구매하는 시민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분위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빈부 격차는 다소 완화됐다.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6.20으로, 1년 전(6.30)보다 0.10포인트 낮아졌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을 1분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배율이 낮을수록 빈부 격차가 적고 분배 상황이 좋다는 의미다.

기획재정부는 “1분기 가계동향의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으나 현재 우리 경제가 엄중한 상황인 점을 고려하면 향후 개선세 지속 여부는 불확실하다”며 “민간 일자리 창출과 취약계층 중심 선별적 지원 강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