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푸틴, 스웨덴·핀란드 나토 가입 “문제 없다”…터키는 반대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푸틴, 두 나라 나토 가입 “직접 위협 아니야”

군사력 주둔 않는 ‘노르웨이 모델’ 용인 시사

나토 군사력 전진 배치되면 대응 나설 듯

터키 대통령 “예스라고 안 한다”…반대 고수


한겨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6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옛 소련권 국가들의 안보협력기구인 집단안전보장조약기구(CSTO) 회원국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모스크바/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군사 시설이 전진 배치되지 않는 한 핀란드와 스웨덴의 가입 자체엔 “문제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나토 회원국인 터키는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푸틴 대통령은 16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옛 소련권 6개국의 안보협의기구인 집단안전보장조약기구(CSTO) 회의 석상에서 최근 나토 가입 의사를 밝힌 북유럽의 두 ‘중립국’인 핀란드와 스웨덴에 대해 “러시아는 이 국가들과 아무 문제가 없다. 아무 문제도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 국가들로 나토가 확장되어도 러시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지역으로 군사 시설(military infrastructure)이 확장된다면, 그것은 우리 쪽의 반응을 촉발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를 향해 만들어진 위협을 어떻게 봐야 할지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 발언은 나토가 핀란드·스웨덴에 군사 기지나 미사일 등 러시아 안보를 직접 위협하는 시설·무기를 배치하지 않은 한, 이를 막으려는 대항 조처를 취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푸틴 대통령은 이틀 전인 14일 나토 가입 사실을 알리기 위해 전화를 걸어온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에게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핀란드에 가해지는 안보 위협은 없기 때문에 군사적 중립이라는 전통적 정책을 거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그런 변화가 러시아-핀란드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는 선에 그쳤다.

하지만, 미국에 대해선 재차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푸틴 대통령은 나토 확장은 그 자체로 “미국의 이익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라서 완전히 인위적인 문제”라며 “우리는 이에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또다른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는 냉전 초기인 1949년 나토에 가입했지만, 나토의 군사 시설이나 병력을 받아들이진 않고 있다. 당시 소련은 노르웨이의 이런 나토 가입 모델을 사실상 용인한 바 있다. 이날 나토 가입 신청을 한 스웨덴은 노르웨이의 전례에 따라 자국 영토 안에 나토의 군사기지나 핵미사일을 영토 안에 두진 않겠다는 유보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핀란드는 이와 관련해 명확한 언급을 내놓고 있지 않지만,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방침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

푸틴 대통령은 애초 우려와 달리 핀란드와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완화된 입장’을 밝혔지만, 터키는 거듭 부정적 입장을 거듭 드러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이날 앙카라를 방문한 압델마드지드 테분 알제리 대통령과 기자회견에서 핀란드·스웨덴의 외교사절들이 이 사안을 논의하려고 앙카라로 와서 성가시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나토에 가입한 터키에 제재를 가한 이들 나라들에게 예스라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를 설득하려고 온다는데, 미안하지만 우릴 성가시게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터키는 앞서 스웨덴과 핀란드가 터키로부터 분리독립을 위해 유혈투쟁을 벌이는 쿠르드노동자당(PKK) 등 “테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며, 이 두 나라의 나토 가입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터키 법무부의 한 소식통은 스웨덴과 핀란드가 지난 5년 동안 터키가 요구하던 33명의 쿠르드족 분리독립 관련자들의 추방에 긍정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터키의 반대에 대해 미국과 나토는 결국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메블뤼트 차우쇼을루 터키 외교장관은 18일 워싱턴을 방문해 블링컨 국무장관과 만나서 이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터키는 지난 3월 말 이스탄불 평화회담을 주도하는 등 그동안 전쟁의 조기 종결을 위한 평화회담을 중재해 왔다. 이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의 중립화’를 전제로 한 종전안에 대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4월 초 부차 학살 등이 불거지고 우크라이나가 ‘영토 문제’에서 완강한 입장을 선회하면서 평화회담은 공전되고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항상 시민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 신청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