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재계, 바이든 방한에 투자안 속속···IPEF 앞두고 한미 경제 공조 '속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성은 기자]
머니투데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재계에서 대미 투자 계획들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이달 중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공식 출범이 예상되는 가운데 한미간 경제 공조가 더욱 공고해지는 모양새다.


한국에 '땡큐' 외쳤던 바이든, 국내 재계인들 또 만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20~22일 방한 기간 중인 오는 21일 국내 주요 재계 관계자들과 서울 모처에서 회동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 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 구광모 LG 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를 비롯한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 한화 등의 참석 가능성도 거론된다.

바이든 대통령 방한을 앞두고 재계는 대미 투자방안을 속속 내놓고 있다.

AP통신 등 외신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조만간 조지아주에 전기자동차 전용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할 것이란 보도가 연일 이어졌다. 투자 규모만 70억달러(9조원) 이상이 될 것이란 내용이다. 현대차는 이에 대해 아직까지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 내 전기차 생산,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해 5년에 걸쳐 74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란 계획을 내놨었다.

한화솔루션은 지난 12일 한국과 미국에 총 3800억원을 투자해 고효율 태양광 셀과 모듈을 생산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미국에는 약 2000억원이 투자될 예정으로 2023년 상반기 생산이 목표다. 이번 투자로 한화솔루션은 기존 1.7GW를 포함, 미국 내 단일 사업자로서 최대인 3.1GW의 모듈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이에 앞서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0년 12월 미국 위성통신 안테나 기업 카이메타에 지분투자를 단행했고 같은 해 한화솔루션은 미국 수소·우주용 탱크 업체 시마론을 인수해 2025년까지 1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었다.

롯데지주는 지난 13일 미국 뉴욕주 시러큐스시에 위치한 BMS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을 약 20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말 미국 리튬메탈 음극재·전해질 개발 스타트업 소일렉트와 손잡고 합작법인(JV)을 설립, 2025년까지 미국 현지에 약 2500억원 규모 생산시설 구축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삼성, SK, LG도 이미 계열사들을 통해 조단위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거나 예정된 기업들이다.

지난해 5월 미국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국내 기업들은 총 394억달러(약 44조원)에 달하는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었다. 삼성전자가 신규 파운드리 공장 구축에 170억달러를 쏟아붓기로 했고 SK하이닉스가 대규모 연구개발 센터에 10억달러를 투자하는 내용이 담겼다. 행사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 자리에서 삼성, 현대, SK, LG 경영자들에 직접 감사를 표해 화제가 됐다.

배터리 기업들도 빼놓을 수 없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손잡고 미국 현지에 1~3 합작공장을 짓는데 4조2000억원을 부담한다. 이밖에 애리조나주에 원통형 배터리 신규 공장을 짓는데 1조7000억원, 미시간주 파우치 공장을 증설하는데 1조6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었다. SK온은 조지아 1~2공장을 짓는데 3조원을 투자중이고 포드와 미국 현지 합작법인을 짓는데 약 5조1000억원을 부담키로 했다. 삼성SDI도 스텔란티스와 북미 합작법인 설립키로 했는데 세부 부지, 투자 규모 등이 올해 상반기 내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

머니투데이

(로이터=뉴스1) = 문재인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5월 회담 뒤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C)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IPEF 5월 공식 논의 개시···재계 "공급망 논의 창구 개설 환영, 편가르기식은 안돼"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후 일본을 방문할 예정인데 외신에서는 이 기간을 전후해 5월 중 IPEF 공식 논의가 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10월 바이든 대통령이 구상을 발표한 지 7개월 만이다.

IPEF는 무역 뿐만 아니라 디지털 경제, 에너지·기후변화 대응, 높은 노동·환경 기준의 무역체제, 공급망 안보 구축, 친환경에너지 공동 투자, 공정한 자유무역환경 조성 등을 망라하는 보다 포괄적 경제 협력 체제를 뜻한다.

기존 CP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이나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가 주로 관세, 무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IPEF는 그보다 범위가 넓은데다 미국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CPTPP나 RCEP에 현재 미국은 부재한다.

IPEF에는 한국, 호주, 일본, 싱가폴, 뉴질랜드의 참여가 확실시되고 이밖에 필리핀, 태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인도 태평양에 위치한 국가들 참여도 예상된다. 이를 통해 미국은 지역 내 동맹체제를 공고히 하고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태지역 새로운 경제질서가 대두될 움직임에 재계는 기대반 우려반이다. 우선 글로벌 공급망이 갈수록 취약해지는 시점 이를 공동으로 극복할 공식 플랫폼 마련될 수 있단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지난달 무역협회는 "핵심물자의 공급 차질을 해결하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원산지 증명 간소화 등 비관세 무역장벽 완화, 통관 절차 간소화 노력, 참여국들의 입장을 고려하는 노동·환경 기준 도입, 탈탄소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을 IPEF에서 다뤄달라"는 업계 요청을 담은 의견서를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에 전달했다.

또 대한상의에 따르면 한미 정상회담에서 꼭 논의해야 할 경협과제로 공급망 협력이 꼽혔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시기 우리나라에 취해졌던 각종 무역구제조치가 해소돼야 한다는 점도 꼽혔다. 예를 들어 철강, 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이 완화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반면 IPEF 출범 과정에서 중국으로부터 우리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중 관계가 긴장상태에 놓여있는데 IPEF 출범이 자칫 잘못 편가르기식 접근으로 보여졌다가 우리 기업들이 피해를 입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공급망 관련 국제 대화 창구가 마련된다면 대부분 자원을 중국 수입에 기댄 우리나라의 사정도 충분히 검토되고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gtts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