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복지 정책의 재원 마련을 두고도 여야 후보들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모두 증세는 없다고 밝혔는데,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비판했습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복지정책의 핵심으로 기본소득을 내세웠습니다.
그러자 사회서비스복지를 앞세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기본소득공약의 재원을 따져 물었습니다.
이 후보는 국민의힘 정강 정책에도 기본소득이 있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윤석열 후보 말씀 중에서는 기본소득 비판을 자주 하시는데, 혹시 국민의힘 정강정책 1조 1항에 '기본소득 한다' 이렇게 들어 있는 거 아십니까?]
그러면서 증세 계획이 없다고 밝혔는데,
윤 후보 역시 증세보다는 지출 구조조정과 세수 자연 증가분을 복지 재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국민의힘 대선 후보 : 증세라는 것이 경제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이제 해야 됩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거대 양당 후보들이 복지 공약만 남발한 채 재원 마련 계획은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증세를 주장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국민연금의 빈부격차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대선 후보 : 형편이 좋은 분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리고, (그래서) 국민연금이 빈부격차를 악화시키는 역할을….]
마지막 TV토론을 마친 네 후보는 오늘(3일) 다시 막바지 유세전에 나서는데, 이 후보는 서울에서, 윤 후보는 충청과 경남에서 유세를 이어갑니다.
엄민재 기자(happymj@sbs.co.kr)
▶ 2022 대선, 국민의 선택!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복지 정책의 재원 마련을 두고도 여야 후보들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모두 증세는 없다고 밝혔는데,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비판했습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복지정책의 핵심으로 기본소득을 내세웠습니다.
그러자 사회서비스복지를 앞세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기본소득공약의 재원을 따져 물었습니다.
[윤석열/국민의힘 대선 후보 : (기본소득) 연 100만 원만 해도 한 50조 원이 들어가는데, 이걸 가지고 탄소세다, 국토보유세다 이렇게 해서 증세를 하게 되면 결국은 기업활동 위축되고….]
이 후보는 국민의힘 정강 정책에도 기본소득이 있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윤석열 후보 말씀 중에서는 기본소득 비판을 자주 하시는데, 혹시 국민의힘 정강정책 1조 1항에 '기본소득 한다' 이렇게 들어 있는 거 아십니까?]
그러면서 증세 계획이 없다고 밝혔는데,
[이재명/민주당 대선 후보 : 저희는 증세 자체를 할 계획은 없다. 분명하게 말씀드립니다.]
윤 후보 역시 증세보다는 지출 구조조정과 세수 자연 증가분을 복지 재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국민의힘 대선 후보 : 증세라는 것이 경제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을 이제 해야 됩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거대 양당 후보들이 복지 공약만 남발한 채 재원 마련 계획은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증세를 주장했습니다.
[심상정/정의당 대선 후보 : 저는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고 감세하는 복지는 사기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국민연금의 빈부격차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대선 후보 : 형편이 좋은 분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리고, (그래서) 국민연금이 빈부격차를 악화시키는 역할을….]
마지막 TV토론을 마친 네 후보는 오늘(3일) 다시 막바지 유세전에 나서는데, 이 후보는 서울에서, 윤 후보는 충청과 경남에서 유세를 이어갑니다.
심 후보는 서울 광화문과 충북 청주를 찾고, 안 후보는 서울 대학가에서 청년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엄민재 기자(happymj@sbs.co.kr)
▶ 2022 대선, 국민의 선택!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