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대출금리 또 오르겠네"…美 긴축에 한국 1인당 이자 32만원↑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유선일 기자]
머니투데이

[워싱턴=AP/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2021.11.2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가운데 시장에선 미국의 금리인상이 연내 최대 5차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의 예상대로라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내 1.25~1.5%까지 올라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 1.25%를 넘게 된다.

이 경우 한미 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한국은행 입장에선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 만약 한국은행이 연내 2차례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시중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차주 1인당 연평균 이자부담이 약 32만원 늘 것으로 추산된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위한 국고채 발행과 이에 따른 국채 금리 상승도 가계의 이자 부담을 더욱 키울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26일(현지시간) 이틀 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3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는 더 이상 높은 수준의 통화정책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이것이 우리가 자산매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는 이유이며 조만간 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우리는 물가 안정 목표에 전념하고 있다"며 "경제와 강력한 노동시장을 지원하고 더 높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의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연준이 오는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는 것을 시작으로 연내 총 4차례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경제전망 전문가 앨런 사이나이 디시전이코노믹스 대표는 이날 세계경제연구원이 개최한 웨비나에서 미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최대 5차례 인상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미 연준은 2020년 3월 코로나19(COVID-19) 사태에 대응해 금리를 1.00~1.25%에서 0.00~0.25%로 내린 후 2년 가까이 동결했다. 미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0.25%p씩 5번 올린다고 가정하면 1.25~1.5%가 되는데, 이 경우 한국의 현행 기준금리 1.25%를 넘어서게 된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자금이 국내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은으로선 대내외 금리차 유지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커지는 것이다. 시장은 한은이 기준금리 역전을 막기 위해서라도 연내 1~2차례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경제 상황에 맞춰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창섭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은 4~5번, 한국은 1~2번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은 3월에 대선이 있기 때문에 어떤 정부가 새로 들어서느냐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차주의 이자 부담이 커진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할 때 가계의 연평균 이자부담이 3조2000억원, 차주 1인당으로 계산하면 연평균 이자 부담이 16만1000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했다. 단순 계산으로 올해 기준금리가 0.25%p씩 2차례 오르면 차주 1인당 연평균 이자 부담 증가 규모가 32만2000원에 달하게 된다.

한은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 규모는 지난해 3분기 기준 대출잔액, 가계대출 금리 수준 등을 근거로 추산한 것"이라며 "대출잔액 등을 최신 데이터로 적용하면 큰 수준은 아니겠지만 이자부담 증가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추경 편성과 이에 대한 정치권의 증액 요구도 차주의 이자 부담을 늘리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 24일 국회에 14조원 규모 추경안을 제출하면서 재원 마련을 위해 11조3000억원 규모 국채를 발행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 추경 규모 증액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국채 발행 규모는 이보다 커질 수 있고, 대선 이후 새로운 정부가 국채를 추가 발행해 2차 추경을 편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국채 발행량을 늘리면 국채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국채 금리가 오르고 이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