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2월 최대 12만명” 예상하는데…비상 상황 막을 시나리오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질병관리청 단기예측 분석 결과

2월 말 최소 3만명·최대 12만명

정부 부처별 업무지속계획 준비

“의료진 격리기준 등 탄력운용 필요”


한겨레

26일 신규 확진자 수가 표시되는 지하철 서울역 디지털종합안내도에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 수 13012명에서 마지막 ‘2’가 빠진 ‘1301’명이 보여지고 있다. 담당 업체는 확진자 문구가 네 자리수까지만 표시돼 추후 시스템을 보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여파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만명을 넘었다. 정부는 오는 29일부터 전국 단위에서 고위험군 중심으로 PCR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오미크론 대응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빠른 감염 확산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환자 관리뿐 아니라 보건의료·교육 등 사회필수기능이 멈추지 않도록 대비책도 서둘러 정비해야하는 상황이다.

방역당국 “내달 확진 최대 12만명”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6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3012명이라고 밝혔다. 전날 8571명보다 4441명 늘었고, 1주일 만에 2.24배로 급증했다.

방역당국은 이런 확진자 급증세가 당분간 지속돼, 내달 최대 12만명의 일일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21일 수리모델링한 ‘단기 예측 결과’ 분석을 보면, 델타 변이 대비 오미크론 전파력이 2.5배라고 가정할 때 일일 확진자는 이달 말에 7000~8000명, 2월 중순에 1만5000~2만1000명, 2월 말 3만2000~5만2000명으로 증가한다. 오미크론이 델타 대비 전파력의 3배라고 가정하면 하루 확진자는 이달 말 8000~1만명, 2월 중순에는 2만7000~3만7000명, 2월 말엔 8만~12만명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확진자 증가에 정부는 29일부터 오미크론 대응 체제를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곳에서 실시 중인 지역 의료기관들의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를 29일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29일 전국 256개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해진다. 내달 3일부터는 전국의 호흡기 전담 클리닉 431개소와 지정된 동네 병·의원들이 검사·진료 역할을 한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역시 참모회의에서 “오미크론 대응 체계의 전국 확대와 관련한 준비를 빠르게 진행하라”며 “동네 병·의원의 코로나 검사·치료체계도 처음 시행하는 것이니 초기에는 부족한 점도 있을 것이다. 의료계와 잘 협의하여 대처하라”고 지시했다.

동네병원이 재택치료까지 ‘원스톱 재택치료’ 검토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 체계 전환과 함께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단체와 함께 ‘원스톱 재택치료 모델’을 협의하고 있다. 이에 코로나19 진료에 참여할 동네 병·의원을 모집 중이다.

이 모델은 동네 병·의원이 코로나19 검사를 하고 진료·재택치료 모니터링까지 모두 담당하는 ‘동네 주치의’ 같은 개념이다. 현재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이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게 했지만, 동네 의원도 진단검사·재택치료를 할 수 있도록 전환하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이 모델이 시행되면, 동네 의원들이 퇴근한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9시까지 방역당국·지자체가 운영하는 센터가 환자 관리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동네 의원이 24시간 체제가 어렵다 보니, 심야 응급콜을 대응하는 센터가 만들어질 것 같다”며 “아직 보상이나 세밀한 운영 체계같은 경우는 협의가 더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공간적 한계로 동선·분리나 진단검사 등에 제약이 있는 동네 의원들을 어떻게 참여하도록 할 지는 과제다.

‘사회필수기능 마비’ 대비 시나리오별 계획 필요


확진자 폭증에 따라, 사회필수기능 마비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가령 보건의료계 집단감염 등으로 병원 의료기관의 기능이 마비되거나, 돌봄·교육·치안·소방 등에서도 오미크론 확진자가 속출해 제대로 기능할 수 없게 되는 일을 막야아 한다는 얘기다.

정부는 각 부처별로 확진자 폭증 시 업무지속계획(BCP)을 만드는 중이다. 고재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장은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각 부처에서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핵심업무를 선정하고 업무지속계획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면서 “예를 들면 돌봄이나 교육, 치안 등 분야에서 비상조직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우선순위가 되는 핵심업무가 무엇인지, 재택근무 활성화 등 비상 시에 계획을 세우고, 기간 내에 감염병 확산 방지 조치를 해달라고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확진자 폭증에 대비해 보다 구체화된 업무지속계획을 준비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교수(사회의학)는 “방역 상황에 따른 확진자 발생 규모에 따라 비상계획이 있어야 한다. 확진자가 3만, 5만, 10만이 됐을 때 시나리오별로 준비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보건·의료 인력의 확진으로 보건소·병원을 운영하기 힘들어졌을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윤 서울대 의대(의료관리학)교수는 “의료진도 기존 기준에 따라 격리하되, (의료진이)광범위하게 감염되면 증상없고 최소 격리기간을 거친 의료진은 조금 더 빨리 직장에 나오는 등 격리 기준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준용 장현은 임재희 기자 juneyong@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