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오뚜기 라면, 가성비 전략 벗어나 신제품·품질 공세 강화…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오뚜기 라면이 '가성비 전략'에서 신제품·품질 강화 전략으로 틀고 있다.

오뚜기는 그간 '진라면'을 효자상품으로 내세우면서 라면 사업의 매출 성장을 이룬 바 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가성비 중심 공략의 효과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격 인상으로 라면 가격 '키맞추기'를 단행한만큼 향후 라면시장의 가성비 경쟁이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가성비' 대표 진라면, 가격 인상 이후 주춤

26일 업계에 따르면 오뚜기는 지난해 9월 라면 시장점유율 24.2%를 기록했다. 라면 가격인상 전인 같은 해 7월(25.8%) 대비 1.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8월 라면 가격 인상 이후 점유율이 소폭 줄어든 것이다. 13년 넘게 유지했던 가성비 전략에도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앞서 오뚜기는 지난해 8월 진라면 등 주요라면 가격을 평균 11.9% 인상한 바 있다. 2008년 4월 이후 13년 4개월 만의 인상이다. 당시 오뚜기를 시작으로 농심(6.8%), 삼양식품(6.9%) 등 주요 라면업체들도 가격을 올렸다. 각각 2016년 이후 4년 8개월, 4년 4개월 만에 가격을 인상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22.01.25 romeok@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동안 오뚜기 진라면은 농심 신라면, 삼양식품의 삼양라면 등 주요 업체들의 대표라면 대비 가장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다. 사실상 오뚜기는 다른 라면업체의 2배 넘는 기간 동안 가격을 동결해오면서 가성비를 강화해온 셈이다.

수년 전만해도 오뚜기는 가격 유지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었다. 2011년(12월) 11.5%였던 오뚜기의 라면시장 점유율은 2016년 25.6%로 급격히 성장한 바 있다. 이후 2017년 25.8%, 2018년 28%까지 오르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2019년 27.6%, 2020년 26.8%로 줄었고 최근 가격인상 직후인 2021년 9월에는 24.2%로 내려왔다. 경쟁사들이 라면 가격인상에 나설 동안 가격을 동결하는 가성비 전략으로 점유율 확대에 성공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라면 점유율이 소폭 하락이 있었지만 지난해 12월 24.6%로 회복 중"이라며 "올해는 진라면, 열라면, 육개장컵 등 기존 대표제품들의 상품가치 향상 및 리뉴얼을 지속하고 컵누들 시장 확대에 따른 마케팅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무는 오뚜기 '가성비 전략'...라면업계, 신제품·품질 경쟁 2R

일각에서는 오뚜기 라면이 가성비 전략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장기간 가격 유지 정책에 따른 영업이익 부담은 늘었던 반면 점유율 상승효과는 줄었기 때문이다. 차재헌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라면 가격 유지를 통한 추가적인 시장점유율 상승이 한계점에 도달한 것"이라며 "오뚜기의 경우 가격인상 1%의 효과가 시장점유율 상승 1%보다 손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8월 주요 라면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통해 대표 제품의 '가격 키맞추기'를 완료한 만큼 향후 라면시장은 저가·가성비보다 다양한 맛, 품질 경쟁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지난해 라면시장에 신규 진입한 하림의 경우 더미식 장인라면 가격을 한 봉당 2200원으로 책정, 초고가의 프리미엄을 표방한 제품으로 선보인 바 있다.

뉴스핌

홈플러스 비유탕면 특설 매대


오뚜기도 지난해 '게이머즈컵' 시리즈를 프리미엄급으로 내놨다. 고기 등 단백질 함량을 일반 라면 대비 높인 제품으로 편의점 기준 2800원으로 고가에 해당한다. 새로운 맛을 앞세운 제품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농심은 최근 카구리(카레+너구리), 사천백짬뽕을,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시리즈 강화 함께 짬뽕라면 바담뽕을 선보이는 등 업체마다 신제품 공세를 높이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라면제품의 시장점유율은 계절적 요인, 신제품, 프로모션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단기 등락의 요인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며 "라면 가격인상 효과의 경우 지난해 4분기를 지나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