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공급망 쇼크]③ "투자도 해결책도 우리 손에"…재계, 직접 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재계가 앞장서고 있다. 우리 기업들은 현지 투자를 늘려 미국의 공급망 재편 작업에 동조하는 한편, 내부 조직을 개편하고 핵심기술 확보에 나서는 등 어느 때보다 분주한 새해를 보내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가장 가슴을 졸이는 당사자는 다름 아닌 기업들이다. 대 중국 의존도가 적지 않은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중국도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정부의 외교력에 기대기엔 한계가 있는 상황. 공급망 재편에 따른 현지 투자, 그에 따른 리스크 부담은 쥐고도 기업들이 나설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경제계는 우리 기업들이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구축 작업을 기회로 실익을 확보하고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대그룹 미국에 44조 투자..美 중심 공급망 재편 동참

재계는 우선 미국의 중국에 대한 디커플링 정책에 동조하며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천문학적인 금액의 미국 현지 투자 결정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5월 한미정상회담 후 삼성·현대차·SK·LG 4대 그룹은 총 394억 달러(약 44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를 결정했다. 미국이 4대 핵심품목으로 정한 반도체·배터리·소재·의약품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삼성전자는 170억 달러(약 20조원)를 들여 텍사스주 테일러에 신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는다. 삼성전자가 투자한 해외 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다. SK하이닉스도 10억 달러(1조1100억원)를 들여 실리콘밸리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한다. R&D센터 설립을 계기로 SK하이닉스도 미국 중심의 '반도체 동맹'에 본격적으로 가세했다.

배터리 사업 투자도 이어졌다. 국내 배터리 3사는 2025년까지 모두 11개의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스텔란티스와, SK온은 포드,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각각 손을 잡고 합작 공장을 설립하거나 독자적으로 설비 구축에 나선다.

미국은 코로나19 팬데믹과 무역분쟁 등을 겪으며 반도체·배터리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려 하고 있다. 우리 기업 입장에서 미국 정책에 부응하는 동시에 미중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꼽힌다.

◆발로 뛰는 재계 총수들..공급망 내부조직도 강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재계 총수들도 '민간외교관'을 역할을 자처하며 백방으로 움직이고 있다. 매주 재판을 받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재판 일정에 공백이 생길 때마다 해외 출장을 나섰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11월 북미 출장에서 파운드리 투자를 결정지었고, 곧장 UAE로 떠나 글로벌 네트워크를 재가동했다. 이 부회장은 백악관과 미 의회 핵심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전폭적인 지원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태원 SK 회장은 작년에만 네 차례 미국을 방문했다.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학자, 재계 인사 등이 참여하는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rans-Pacific Dialogue·TPD)' 포럼을 가동했다.

재계 관계자는 "재계 총수들이 '민간외교관' 역할을 자처할 정도로 글로벌 경영환경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며 "삼성과 SK 모두 중국에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사업의 생산공장을 가동 중으로, 미국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지만 매출의 40% 가량을 책임지고 있는 중국시장도 쉽사리 포기할 수 없다"고 전했다.

회사 내부에서는 공급망 관리 조직을 격상하며 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공급망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4개 조직을 신설했다. 경영지원실 산하에 '공급망인사이트TF', 스마트폰(MX) 사업부 산하에 '구매전략그룹', 영상기기(VD) 사업부 산하에 '글로벌 운영팀', 생활가전 사업부 산하에 '원가혁신TF' 등이다.

LG전자도 각 사업본부의 공급망 관리(SCM) 조직을 대폭 강화했다. 'SCM실'을 'SCM 담당' 조직으로 격상하고 임원급 인사가 공급망을 관리토록 했다. 또 공급망을 지역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럽 SCM팀' '북미·아시아 SCM팀'을 신설했다. 반도체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도체 개발·구매팀'과 '반도체 공급 대응 태스크'도 가동한다.

한국무역협회에서는 민관 합동으로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공급망 모니터링 TF'를 가동한다. 글로벌 물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삼성물산과 LX인터내셔널, GS글로벌 등 국내 종합상사가 참여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중동 출장을 마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9일 오후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귀국하고 있다. 2021.12.09 kimkim@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원천기술' 확보..R&D 투자도 늘린다

전문가들은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핵심 기술 확보'를 꼽고 있다. 핵심기술을 보유한 선진국과 독점기술을 확보한 기업들의 지배력이 지속되고 이들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재편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란 전망에서다.

삼성전자가 인재양성과 기초과학 R&D에 아낌없이 돈을 쏟아 붓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3년부터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기초과학, 소재, ICT 등 3대 분야에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미래기술육성사업을 진행 중이다. 기초과학·원천기술 R&D 지원 규모도 향후 3년간 3500억원으로 확대한다.

SK그룹은 SK스퀘어와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ICT 3사가 연합체를 구성하고 반도체와 ICT 분야에서의 공동 R&D를 수행하기로 했다. 우선 국내 최초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사피온(SAPEON)'을 글로벌 시장에 내놓는다. SK텔레콤이 주도한 사피온을 기반으로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전용 모델을 확대할 계획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정형곤 선임연구위원은 "앞으로 기술을 가진 동맹국간 공급망 구조는 더욱 공고해지고, 자국의 반도체 공급망 안정과 생산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동맹국의 기업들을 활용하는 성향이 강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syu@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